고혈압 심혈관질환 당뇨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마른 사람보다 적당히 비만한 사람들이 더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말하자면 과체중의 역설인 셈이다.
고려대안암병원은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팀이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의학통계학교실 이준영 교수팀과 공동으로 2002년부터 2010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중 30세 이상 100만 명의 진료실적을 바탕으로 건강행태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고령자일수록 비만이 저체중보다 오히려 건강에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고 21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사망위험률(hazard ratio: HR)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BMI지수 23~24.9(과체중)을 기준으로 사망위험률(Hazard Ratio)을 1로 보았을 때, 중등도 비만의 사망위험률은 과체중에 비해 0.86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BMI지수 18.5 미만으로 저체중에 해당되는 경우엔 과체중보다 사망위험률이 2.24배나 높았다. 각종 만성질환 발생의 원인인 비만이 오히려 사망위험률을 낮춘다는 역설적인 결과가 나온 것이다.
김 교수는 “비만하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등 여러 가지 질병이 생기는 것은 맞다. 이러한 만성질환 때문에 더 빨리 사망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오히려 본인의 질병과 건강상태에 대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조기 치료 등 건강관리에 더 신경을 쓰게 되기 때문에 되레 사망위험률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도서관학회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적당히 뚱뚱한 사람이 비쩍 마른 사람보다 오래 산다?
입력 2015-10-27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