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뭄 사태로 충남 서부 지역 급수조정 방식을 자율에서 강제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국토교통부는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급수조정 태스크포스(TF) 회의를 27일 열고 지역축제를 자제하는 등 시·군이 물 절약에 더 노력할 것을 당부하는 한편 물 절약 목표를 달성을 위해 단계적으로 급수를 강제로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논의 되는 급수조정 방안은 충남 서북부 시·군 8곳에서 자율적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는 현재 방식을 유지하되 물 절약이 목표만큼 이뤄지지 않는 지역에는 광역상수도 밸브를 잠가 물 공급량을 줄이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강제 급수조정은) 저수율이 날로 떨어지는 보령댐의 고갈을 막으려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8일부터 서산, 태안, 홍성 등 충남 8개 시·군은 물 사용량을 평소의 80% 수준으로 줄이기 위해 수압을 낮춰 물을 공급하는 등 자율적 급수조정에 나섰지만 물 절약이 목표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
태안군도 이달 1일부터 25일 사이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이 2만500t으로 목표인 1만6500t의 124%에 달했다. 홍성군의 하루 물 사용량 또한 평균 2만9700t으로 목표(2만5100t)의 118%다.
보령·서산·예산·당진 등도 물 절약 목표를 이루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지난 8일부터 22일까지 충남 8개 시·군이 절약한 물은 일평균 3만3000t으로 계획(4만4000t)의 76%에 그쳤다. 하지만 극심한 가뭄으로 충남 서북부 시·군이 식수원으로 삼는 보령댐의 저수율은 26일 현재 20%밖에 되지 않는 상황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충남 서부 급수 ‘강제조정’ 검토…가뭄에 보령댐 물 20%수준
입력 2015-10-27 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