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성이 뇌졸중에 빠질 경우 발병 원인의 절반가량이 담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신경과 배희준(사진)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 9개 대학병원 및 지역 뇌졸중센터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5107명과 일반인의 생활습관 등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결과, 45세 이하의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에서 무려 45%가 흡연 때문에 뇌졸중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위험요인은 고혈압(29%)이었다.
흡연(37%)과 고혈압(23%)은 46~65세 중년 남성 뇌졸중 환자 중에서도 주요 발병원인이었다. 그러나 66세 이상의 노년층에선 남녀 공히 고혈압(남성 24%, 여성 23%)과 뇌졸중 과거력(남성 20%, 여성 17%)이 가장 위험한 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뇌졸중 예방을 위해선 무엇보다 혈압 조절과 금연실천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는 뇌졸중 전문 학술지 ‘저널 오브 스트로크’(Journal of Strok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청장년 뇌졸중 환자 절반은 담배가 발병 원인이다
입력 2015-10-26 10:35 수정 2015-10-26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