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국정화 논란,전통적 지지층 대거 이탈” PK 가정주부 이탈 뚜렷

입력 2015-10-26 09:37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여론이 증가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의 10월 4주차(19~23일) 주간집계에서, 박 대통령의 취임 139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1주일 전 대비 1.1%p 하락한 46.9%(매우 잘함 17.0%, 잘하는 편 29.9%)를 기록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7%p 상승한 48.7%(매우 잘못함 31.7%, 잘못하는 편 17.0%)를 기록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는 1.8%p로 부정평가가 다시 앞섰는데, 9월 3주차 이후 5주 연속 오차범위 내에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모름/무응답’은 0.6%p 감소한 4.4%.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부산·경남·울산(▼8.5%p, 59.3%→50.8%)과 강원(▼8.5%p, 69.5%→61.0%), 가정주부(▼7.8%p, 67.0%→59.2%), 새누리당 지지층(▼3.5%p, 89.0%→85.5%), 보수층(▼4.7%p, 79.7%→75.0%) 등 전통적 지지층에서 주로 나타났는데,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대한 반대여론 확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리얼미터가 지난 12·13일과 20일에 실시한 두 번의 역사교과서 여론조사 결과 비교에서, 박 대통령의 반대층뿐만 아니라 이들 전통적 지지층에서도 국정화 찬성은 낮아진 반면 반대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박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긍정평가)은, 장차관 8명과 靑외교수석을 전격 교체한 19일(월)에는 전 일 조사(16일, 금) 대비 1.0%p 하락한 48.2%로 시작했고, 국정교과서 예비비 44억 우회 편성 논란이 불거진 20일(화)에도 45.1%로 3.1%p나 하락했는데, 다음날 개최될 여야 5자회담 관련 보도가 이어진 21일(수)에는 47.3%로 반등한 데 이어, 회담 당일인 22일(목)에도 47.7%로 올랐으나, 정작 회담 성과가 없었던 것으로 보도되면서 회담 다음날인 23일(금)에는 46.6%로 하락하며, 최종 주간집계는 1.1%p 내린 46.9%로 마감됐다.

이번 주간집계는 2015년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84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임의걸기(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은 20.3%, 자동응답 방식은 6.1%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9%p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