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늦은 밤, 서울 대학로의 어두운 골목길에서 야당 의원들과 경찰이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새정치민주엽합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회 소속 도종환·김태년·유기홍 의원과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국립국제교육원 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 회관 건물을 급습한 것이다.
이곳에선 교육부의 정식 파견 발령을 받지 않은 21명의 인사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민주연합 도종환 의원이 공개한 TF 운영계획안에는 교원·학부모·시민단체·온라인뉴스 등의 동향을 파악해 청와대에 보고하고 언론 기획기사와 패널 등을 섭외하는 등의 업무가 빼곡히 적혀있었다.
야당 의원들이 건물에 들어닥치자 사무실 내 TF 관계자들은 건물 출입문을 굳게 닫았다. 곧바로 경찰 병력이 들이닥쳐 건물을 에워쌌다. 야당 의원들은 “건물 안에 김관복 교육부 기조실장과 실무자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문을 열어줄 것을 요구했지만, 굳게 닫힌 현관문과 경찰들은 미동도 않았다.
건물 너머 창문으로 보인 사무실 안 컴퓨터 화면에는 현행 검정 교과서들의 편향성을 분석한 자료가 띄워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메모지에는 차관님 업무보고나 대정부질의, 국회입법조사처 요구자료 등의 메모가 적혀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도 의원은 25일 “교육부가 9월 말부터 국정화 추진 작업을 위해 서울 종로구 대학로 국립국제교육원 건물에 TF를 꾸려 운영하고 있다”며 “국정화 작업을 총괄하는 이 조직은 검정교과서 집필진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에 색깔론 공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조직이 교육부 공식조직 체계에도 없는 비선조직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그가 공개한 ‘TF 구성 운영계획(안)’에는 단장 1명과 기획팀 10명, 상황관리팀 5명, 홍보팀 5명 등 21명의 명단이 공개돼 있었다. 명단에는 모 국립대학의 사무국장과 교육부 교과서정책과 인사도 포함됐다.
운영계획안에는 ‘집필진 구성 및 교과용도서 편찬심의회 구성’과 ‘교과서 분석 및 대응논리 개발’ 등 여론전 주도의 정황이 담겨있었다. 또, ‘BH(청와대) 일일점검 회의 지원’이라고도 명시돼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도 의원은 “제보자에 따르면, TF가 진행 상황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등이 참석하는 회의에 날마다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TF의 주된 업무는 교원·학부모·시민단체 동향 파악 및 협력 업무 등이다. 또, 온라인뉴스 동향 파악 및 쟁점 발굴과 기획기사 언론 섭외, 기고, 칼럼자 섭외와 패널 발굴까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정교과서 비공개 TF 있다” 야당, 경찰과 대학로서 대치
입력 2015-10-25 23:01 수정 2015-10-25 2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