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지나 20~22일 3일간 전국 성인 1010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를 질문한 결과, 42%는 긍정 평가했고 47%는 부정 평가했으며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 주 대비 1%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3%포인트 상승해 긍·부정률 격차가 1%포인트에서 5%포인트로 벌어졌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12%/73%, 30대 22%/68%, 40대 34%/56%, 50대 58%/28%, 60세+ 75%/15%로, 각 세대별 부정률이 소폭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긍정/부정률은 서울 37%/50%, 인천/경기 36%/52%, 대전/세종/충청 44%/42%, 광주/전라 23%/65%, 부산/울산/경남 55%/34%, 대구/경북 59%/35%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398명)은 80%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240명)은 80%가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319명)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421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외교/국제 관계'(31%),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0%), '대북/안보 정책'(9%), '안정적인 국정 운영'(6%), '주관, 소신/여론에 끌려가지 않음'(6%)(-5%포인트), '복지 정책'(6%) 등으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 이유에서는 3주째 '외교'가 30% 내외를 기록했으나 긍정률 상승 동력은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번 주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있었으나 '대북/안보' 응답에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어 대통령 직무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472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22%)(+8%포인트), '소통 미흡'(13%), '경제 정책'(12%), '독선/독단적'(7%)(-4%포인트),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7%)(-6%포인트), '복지/서민 정책 미흡'(6%), '전반적으로 부족하다'(6%)(+3%포인트) 등을 지적했다.
최근 2주 연속 대통령 직무 긍정률 하락의 주요 원인은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방침 공식 발표라 할 수 있다. 지난 주 대통령 긍·부정 평가 이유에 새롭게 등장한 '교과서 국정화 추진'은 이번 주 긍정 평가 이유로도 3% 포함됐으나,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22%로 1순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응답률은 18%(총 통화 5,489명 중 1,010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수도권 화이트칼라 朴대통령 부정평가 확산“ 서울 37% 대 50%
입력 2015-1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