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즉시착공 촉구 시민 궐기대회, 영종도 주민 정부에 화났다

입력 2015-10-24 18:28
제3연륙교 즉시착공 촉구 시민궐기대회가 시민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 운남동 영종초등학교 대강당에서 24일 오후 2시부터 2시간여동안 펼쳐졌다.

이학기 제3연륙교 즉시착공 범시민연대 상임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2016년 완공하겠다고 고시한 제3연륙교가 아직까지 설계조차 되지 않은채 한 걸음도 못 나가고 있다”며 “아파트 부지에는 잡초만 무성하고 주민들은 유배지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고 있다”고 울분을 토로했다.

이어 “건설을 안하려면 주민들에게 5000억원을 반환해야 한다”며 “국토교통부 장관은 범시민연대가 요구한대로 TV토론에 나와 비정상화의 정상화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상은 국회의원은 격려사를 통해 “인천시가 최소수익보장(MRG)를 책임지면 국토교통부는 반대를 안한다”면서 “MRG는 통행료가 많아지면 줄어들고 주민들이 늘어나면 재산세도 늘어나기 때문에 인천시가 정무적인 판단을 해야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김홍섭 중구청장은 “경인고속도로는 1000원을 내면 되는데 영종도에 오기위해서는 6000원을 내야하는 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잡초만 무성한 지역을 방치하지 말고 국제도시 조성을 통해 한류열풍 지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경수 인천시의회 의장은 투쟁사를 통해 “이동권과 생존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은 헌법을 어기는 것”며 “대체도로 없이 주민들에게 통행료를 받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따졌다.

김정헌 시의원은 “제3연륙교는 국민과의 약속”이라고 역설했다.

이춘의 미단감리교회 목사는 “25개 감리교회 목사들이 뭉쳐 제3연륙교가 완성될 때까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영종도의 감리교회들은 교회 주보에 이날 시민궐기대회 소식을 알리고, 물질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배준영 항만물류협회장은 연대사를 통해 “2009년 정부를 상대로 인천대교의 주경간 폭을 700m에서 800m로 넓히는 과정에서 예산 1000억원을 더 받아낸 경험이 있다”며 “정당한 권리는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3연륙교 즉시착공 촉구 시민궐기대회에 참가한 시민들은 시민궐기대회 직후 승용차를 이용해 제3연륙교 예정지를 답사한 뒤 정부의 입장에 변화가 없을 경우 고속도로에서 법정 최저속도로 준법 운전을 하는 등 투쟁수위를 높여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