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실험 정보 대가로 전범들에 면죄부” NYT 日731부대 만행 눈감은 美행태 재조명

입력 2015-10-22 14:38 수정 2015-10-22 14:41
‘731부대 죄증 진열관’ 내부. 뉴욕타임스

뉴욕타임스가 21일 미국이 일본 731부대의 생체·세균 실험 정보를 확보하는 조건으로 반인륜적 범죄행위를 숨기고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을 면해줬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사과 필요성을 언급했다.

NYT는 디디 커스틴 태틀로 베이징특파원이 중국 하얼빈에 있는 ‘중국 침략 일본군 731부대 죄증(罪證) 진열관’을 방문한 기사를 ‘일본의 전시 죄악에 대한 미국의 엄호’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태틀로 특파원이 종이신문에 앞서 NYT 중국특파원팀들의 블로그 ‘시노스피어(Sinosphere)’에 올린 기사의 제목은 ‘일본의 전시 잔악행위와 미국의 은폐에 대한 재조명’이라고 돼 있다.

이 기사는 “(중국의 선전 차원이 아닌) 진지한 역사학자들과 생명윤리학자들 사이에서도 이 일은 심각성과 인류에 끼친 해악 면에서 용납될 수 없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어 중국인 관람객의 반응을 감안하면 “언젠가는, 미국이 중국에 사과해야 하느냐는 어려운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731부대의 만행을 폭로한 책을 썼던 미국 코널대의 역사학자 마크 셀든은 “미국과 일본의 ‘거래’에 대한 중국 측의 주장이 우리가 아는 한 정확하다”며 “이시이 시로 부대장등 731부대 관련자 아무도 처벌받지 않는 대신 미국이 여기서 얻은 생체실험 정보를 냉전시대 초기 자체 생물학전 프로그램에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미중 간에 수많은 긴장이 존재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현재 중국의 분노는 거의 전적으로 일본을 향해 있지만 언젠가는 그런 일이 필요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뉴질랜드 오타고대학의 진-바오 니도 “도덕적인 면에서, (미국의) 가차 없는 국익과 국가안보 추구 과정에서 이러한 은폐는 정의를 유린한 것이었다”며 “이는 법률적으로 보면 사후공범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용적인 측면에선, 미국이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게 미국과 중국 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장기적인 국익에 기여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