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들의 대표적 숙원인 군 공항 이전사업이 7조원대의 이전비용을 마련할 방안이 없어 쳇바퀴만 돌고 있다.
광주시는 “광산구 주민들의 전투기 소음피해 해소를 위해 지난해 10월 제출한 이전 건의서에 대해 국방부가 2016년 상반기 중 수용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20일 밝혔다.
시는 국방부가 이전건의서를 받아들이면 2017년 대체 부지를 확정한 뒤 2022년까지 군 공항 이전사업을 마칠 계획이다. 군 공항 이전은 2013년 3월 국회를 통과한 특별법에 따라 시가 군 공항 대체 부지를 기부하고 기존 부지를 넘겨받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여의도 면적의 5배 정도인 현재 군 공항 부지 831만㎡에는 2025년까지 서남권 중추적 복합 신도시가 될 상주인구 5만명의 ‘솔마루 시티’를 건설한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광주 군 공항은 소음피해가 전국에서 가장 심하고 비행사고가 자주 발생해 20여년 이전부터 외곽 이전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돼왔다.
10여년전 조성된 호남권 최대 번화가 상무지구와의 거리도 5㎞ 남짓이어서 도시발전의 걸림돌이란 지적도 받고 있다.
하지만 군 공항 이전 후보지 선정이 해당지역 주민들의 찬반투표를 거쳐야 하는 등 쉽지 않은데다 6조~7조원대로 늘어난 비용도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커지고 있다. 땅값이 비싼 수도권과 달리 광주지역 부동산 시장은 열악해 이전사업을 추진할만한 재원마련이 여의치 않다.
국방부는 당초 3조5000억원으로 이전 비용을 산정했다가 올 들어 6조원으로 증액을 요구했으며, 이전시기가 늦어지면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미래세대에게 전투기 소음을 물려주지 않기 위한 군 공항 이전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며 “군 공항 부지를 개발한 분양 수익금으로 이전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의 숙원인 군 공항 이전 사업 여전히 쳇바퀴, 이전비용 7조원대
입력 2015-10-20 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