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한일 정상회담 기정사실화…군위안부 문제 아베의 선택은

입력 2015-10-17 12:52

11월 1일 한·일 정상회담 성사가 유력시되면서 양국간 핵심 현안인 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선택이 주목된다. 아베 총리가 기존처럼 회피·부정을 택할지, 과감한 해결책을 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 사이의 첫 회담이 한·일 관계 개선의 중대 전기가 될지는 상당 부분 군위안부 문제의 진전에 달렸다는 게 관측통들의 분석이다.

아사히 신문과 산케이 신문은 등 주요 일본 언론은 17일자에 한·일 정상회담 관련 기사를 1면 머리기사로 소개했다. 이들 언론은 한·중·일 3국 정상회담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할 수 있으며, 군위안부 문제에 진전이 있다면 의미 있는 회담이 될 것이라는 박 대통령의 15일 발언을 전했다.

일단 주요 언론들은 일본 외무성 간부 발언을 소개하며 군위안부 문제 양보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실었다. 그러나 아베 총리가 군위안부 문제에서 전혀 성의를 보이지 않은 채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을 ‘외교적 승리’로 치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한·일 관계에 정통한 외교 소식통은 “참의원 선거(2016년 7월)를 치르는 내년에는 군위안부 문제에서 유연성을 발휘하기 쉽지 않을 것이기에 아베 총리로서도 이번 정상회담을 군위안부 문제를 일단락 지을 마지막 기회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한·일 정부 사이에 신뢰가 희박한 상황에서 정상회담까지 남은 2주 사이에 군위안부 문제의 최대 쟁점인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 문제에서 합의점을 찾아 피해자들도 받아들이는 최종 해결안을 도출하기는 물리적으로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만만치 않다. 아베 총리가 정상회담을 계기로 삼아 문제 해결에 대한 정치적 의지를 천명하는 선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