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성인남녀 1003명에게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물은 결과 찬반이 각각 42%로 팽팽히 갈렸고 16%는 입장을 유보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찬성은 고연령일수록(20대 20%; 60세 이상 61%), 새누리당 지지층(68%)에서 많았고, 반대는 저연령일수록(20대 66%; 60세 이상 11%),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65%)에서 우세했다. 무당층은 찬성 26%, 반대 49%였다.
이처럼 교과서 국정화 추진 찬반에 나타나는 세대, 이념 성향 간 대립 구도는 대통령 직무 평가 결과와도 유사하다. 그러나 대통령 평가에 비해 지역 간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현재 초중고 학부모(211명) 중에서는 찬성 41%, 반대 50%였다. 참고로 이번 조사에서는 30대의 24%, 40대의 61%, 50대의 15%가 초중고 자녀를 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찬성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419명, 자유응답) '역사는 하나로 배워야 한다'(23%), '잘못된 역사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18%), '일관성 필요'(14%), '올바른 역사관 필요'(14%), '정부가 하는 일이라서'(6%), '국론 분열을 막아야/국가를 위한 일'(5%) 등이 언급됐다.
국정화 추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419명, 자유응답)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21%), '역사를 왜곡할 것 같다'(16%), '이념 편향성 우려'(14%), '획일화 우려'(9%), '정부 간섭/국가 개입할 일 아니다'(9%), '독재, 군사정권, 유신, 친일 미화 우려'(6%),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과서가 바뀔 것 같다'(5%),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5%) 등을 지적했다.
국정화 추진 찬반 이유는 현 정부에 대한 신뢰 여부, 획일성과 다양성 허용에 대한 인식 차로 요약된다. 찬성자들은 현 정부가 '올바른 교과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믿지만, 반대자들은 오히려 정권에 따라 사실 왜곡과 이념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응답률은 19%(총 통화 5,225명 중 1,003명 응답 완료).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교과서 국정화 찬반 여론,朴대통령과 지지율과 비슷” 찬반 각각 42%로 팽팽
입력 2015-10-16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