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군위안부 문제에 진전이 있으면 의미있는 한·일 정상회담이 될 수 있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앞으로도 계속 다양한 레벨(급)에서 협의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6일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 발언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은 한국 측에 지금까지도 전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스가 장관은 박 대통령 발언이 군위안부 문제의 진전을 한일 정상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걸지 않은 것이라는 분석에 대해 “이웃이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문제가 있을수록 정상 간에 흉금을 터놓고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우리나라의 자세”라고 말했다.
‘다양한 레벨에서의 협의’를 거론한 스가 장관의 발언은 ‘군위안부 문제는 종결된 사안’이라는 입장에 입각한 그의 종전 발언 톤과 뉘앙스가 다른 것으로 보인다.
그간 스가 장관은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질문을 받을 때마다 거의 빠지지 않고 “정치·외교문제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을 했지만 이날은 ‘우리나라의 입장’이라고만 했을 뿐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연설을 한 뒤 진행한 질의응답 때 “2주 후에는 3년 반 동안이나 중단되었던 한·일·중 정상회의를 서울에서 주최할 예정”이라면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그 기회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 (한일 정상) 회담이 열리게 됐을 때 (중략) 양국 간에 중요한 현안이 된, 예를 들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한도 좀 풀어 드리고, 우리 국민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이 문제도 어떤 진전이 있게 된다면 의미있는 정상회담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본 언론은 그간 군위안부 문제 진전을 한·일 정상회담 개최와 사실상 연계했던 박 대통령이 군위안부 문제 진전을 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삼지 않은 것으로 풀이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日 정부 “위안부 문제 다양한 레벨서 협의하는 게 중요”
입력 2015-10-16 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