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걸, 비례대표 축소시사…문재인 “앞서가는 이야기” 일축

입력 2015-10-13 15:07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13일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문제를 두고 미묘한 시각차이를 노출했다.

이 원내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비례대표 축소 가능성을 시사하자 문 대표가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제동을 건 것이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날 정의화 국회의장,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서 "새누리당이 정당명부식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도를 일부 문 열면 우리 당도 비례대표 수에 대한 논의의 문을 열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당 차원에서 주장해온 비례대표 수 축소 불가 입장에서 물러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됐다.

그는 "어제 자리에서 기본적으로 300명 정수에 관해서는 양당이 넘을 수 없다는 점에 대해 서로 일치했다"며 "양당의 과두체제에서 이익을 보는 사표제도를 없애기 위한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저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인만큼,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비례대표 수 축소를) 연동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 대표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와 회동한 후 기자들로부터 이 원내대표의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아직은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앞서가는 얘기"라며 "그렇게 입장을 정한 바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그렇게 앞서가면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되지 않으면서 비례대표만 줄일 수 있는 여지를 주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앞서갈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심 대표와의 회동에서도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지 않고도 농촌지역 선거구 감소폭을 줄일 방안을 갖고 있는데, 새누리당은 들을 생각도 하지 않고 무조건 비례대표를 줄이는 방안만 이야기하고 있다"며 "적극적으로 국민이 판단할 수 있도록 우리가 가진 안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고 심 대표가 전했다.

심 대표는 또한 "문 대표가 이 원내대표의 비례대표 축소 시사 발언에 대해 당론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큰 틀에서 문 대표와 이 원내대표의 입장이 다른 것 같지는 않다"며 "문 대표는 자칫 비례대표 축소 문제에만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우선적으로 관철해야 한다는 협상 전술에 무게를 두고 한 말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또다른 핵심 관계자는 이 원내대표의 언급에 대해 "우리로서는 생각해볼 수 있는 출구 전략"이라면서도 "현재로서는 새누리당이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꿈쩍도 안하는 상황이어서 진전을 낙관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