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안 국회 제출시한 D-1…정의화·여야 원내대표 막판 조율 시도

입력 2015-10-12 17:50
내년 국회의원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안의 제출 시한을 하루 앞두고도 국회는 획정기준을 마련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사상 첫 독립기구로 출범한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법률이 정한 획정안 제출 시한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새누리당 원유철,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12일 정의화 국회의장 중재로 만나 막판 조율을 시도했다. 이 자리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새누리당 이병석 의원과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이학재, 새정치연합 김태년 의원도 참석했다.

원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새누리당은 전체 의원정수는 300명을 유지하고, 비례대표를 줄여서라도 지역구를 늘려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구 260석, 비례대표 40석’이라는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했다. 반면 이 원내대표는 “비례대표제가 사표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영·호남 지역 구도를 완화할 수 있는 좋은 제도”라며 “그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게 (우리) 당론”이라고 맞섰다. 여야가 기존 입장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은 것이다.

이병석 위원장은 “9명의 획정위원들만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건 한계에 봉착했다”고 인정한 뒤 “양당 최고 수뇌부가 결단을 내려야한다”고 했다. 당 지도부 차원의 합의만 이뤄진다면 법정 시한을 좀 넘겨서라도 국회 정개특위가 합의점을 도출해낼 수 있다는 취지였다. 공직선거법은 선거구획정위가 선거일 13개월 전까지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제출하도록 돼 있지만 내년 총선에 한해서 이를 6개월 전으로 규정했다.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도 여야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정 의장은 “늦어도 내일(13일) 오전까지 획정 기준을 마련하라”고 여야에 촉구했다. 원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가급적 오늘 안에 획정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양당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 했다. 앞서 농어촌 지역구 의원 10여명은 의장실을 방문해 “여야 지도부는 농어촌 지역구를 살려내라”는 구호를 위치며 시위를 벌였다.

획정안이 국회로 넘어올 시기가 임박하자 의원들은 권역별로 모임을 갖고 촉각을 곤두세웠다. 새누리당 대구·경북(TK) 의원들은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조찬 회동을 갖고 경북 지역의 농촌 선거구 감소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오후엔 충청 지역 의원들이 모였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선거구 획정에 충청권의 등가성 문제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청이 호남보다 인구수가 많은데도 오히려 의원 수는 적은 지역간 불균형 문제가 해소돼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획정위는 이날 오후 전체회의를 열었지만 진통을 거듭했다. 획정위 관계자는 “농어촌 지역구 감소 폭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영호남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