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금리 인상을 내년에나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정사실로 여겨지던 ‘늦어도 오는 12월 인상’마저 해를 넘길 것이라는 예측으로, 연준의 ‘좌고우면’이 시장 불확실성만 높이고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다.
연준의 스탠리 피셔 부의장은 11일(현지시간)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도 “이는 예상일 뿐, 약속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피셔 부의장은 페루 리마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계기로 한 국제금융전문가그룹인 G30의 국제금융 세미나에 참석, 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첫 금리 인상 시점과 뒤이은 연방 기준금리 목표 조정은 향후 경제의 진전 상황에 결정적으로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이 전했다.
피셔 부의장의 이날 발언은 세계 경기 부진으로 완만하게 확장해온 미국 경제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경우 연준의 연내 금리인상이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피셔 부의장은 “미국 경제는 계속 완만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세계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수출부진, 저유가에 따른 투자감소, 일자리 증가 둔화 등으로 인해 향후 전망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연방기금(EF) 금리선물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내년 3월에나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시장은 올해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8%, 12월은 37.4%로 각각 평가했다. 이는 내년 1월(44.9%)이나 3월(59.3%) 가능성보다 크게 낮은 것이다.
특히 9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14만2000명 증가해 시장의 예상치 20만3000명을 하회했다는 노동부 발표가 금리 인상 연기론에 영향을 미쳤다고 통신은 전했다.
배병우 선임기자 bwbae@kmib.co.kr
미 금리 이젠 내년 인상?
입력 2015-10-12 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