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시민사회,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함께 추진한다

입력 2015-10-11 07:07
민족문제연구소(민문연)는 한일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내년 8월 개관을 목표로 ‘식민지역사박물관’(가칭)을 건립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박물관은 일제의 침략과 수탈, 강제동원 기록 등 식민지 시대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전시하고 과거사 청산을 위한 한일 시민운동의 역사를 보전하는 동시에 동아시아 시민사회 교류의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만들어진다.

다음달 14일에는 일본 역사 시민단체 30여개가 박물관 건립을 지원하는 모임을 발족할 계획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에 지어질 식민지역사박물관에 기증할 자료를 수집하고 건립기금 모금활동 등을 전개한다.

14일 열리는 지원 모임 발족식에서는 한일 역사학자들이 모여 '식민지 역사박물관의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도 열 계획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역사학자 이이화씨가 위원장을 맡은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가 결성되면서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준비의 첫 발을 뗐다. 그동안 민문연이 자체 수집한 자료와 강제동원 피해자를 비롯한 시민들이 기증한 유품 등 3만여점이 식민지역사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광복 70주년인 올해 개관할 계획이었지만 일제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한국사 교과서 개정과 국정화 문제 등 현안이 많아 준비가 다소 늦어졌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세울 때도 일본 시민사회가 모금을 벌여 7억7000만원 가량을 건립 기금으로 전달하는 등 협력한 사례가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