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0일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친일 독재 미화’로 규정,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막아 내겠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수 대변인은 논평에서 “유신의 잔재인 국정교과서를 검인정으로 바꾼 것은 민주화 투쟁의 산물”이라며 “대한민국의 시계를 거꾸로 되돌리려는 어떤 음모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정우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독일은 나치정권 시절, 일본은 러일전쟁 직후부터 세계대전 패배 때까지 국정교과서를 채택했다”면서 “현재 국정제를 근간으로 교과서를 발행하는 나라는 북한과 방글라데시 정도”라고 꼬집었다.
야당은 이번 연휴 기간 지도부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교문위)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역사 교과서 대책 논의를 이어가며 예산안·법안심사 연계, 장외 선전전 등 투쟁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부·여당이 국정교과서 당위성을 주장하며 내놓는 근거들의 편향성 문제도 제기됐다.
교문위 소속 정의당 정진후 원내대표에 따르면 새누리당이 제시한 교육부의 ‘검정 고교 교과서 집필진 현황분석결과 자료’가 최근 ‘이념 편향’ 논란을 일으킨 고영주 방송문회진흥회 이사장이 이끌던 단체인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가 2011년 토론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교과서 국정화, 북한과 방글라데시 정도” 野, 친일 독재 미화 규정 저지 투쟁
입력 2015-10-10 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