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이 국제축구연맹(FIFA)의 자격정지 6년 징계에 강력하게 반발하며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명예회장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FIFA 윤리위의 나에 대한 제재는 블라터 FIFA 회장이나 플라티니 유럽축구연맹(UEFA) 회장, 발케 FIFA 사무총장에 대한 제재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그동안 FIFA에 비판적 입장을 취해온 것에 대한 졸렬한 보복”이라며 “이번 조사가 기본적인 실체도 없이 오로지 저의 선거 등록을 훼방하기 위해 시작된 술수임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블라터 회장과 플라티니 회장, 발케 사무총장은 뇌물, 배임, 횡령 등 구체적 범죄적 행위에 관련된 혐의를 받는 사람들임에도 90일 잠정 제재를 가한데 반해, 나에 대해서는 조사 비협조와 윤리적 태도와 같은 애매한 조항을 적용해 6년 제재를 가한 것은 현저히 형평성을 잃은 것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항변했다.
윤리위가 조사 과정에서 문제로 삼았던 투표담합(vote trading), 부정이익 제공과 구호 성금은 제외하고 단지 조사를 담당하는 윤리위에 대한 비판과 조사 비협조라는 지엽적이고 기술적인 사항을 제재의 근거로 삼은 것은 이번 사태가 정치적 술수임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정 명예회장은 “FIFA 윤리위가 중점을 둔 또 하나의 혐의는 국제축구기금(GFF)을 설명하는 편지 문제였다”며 “초기 조사 과정에서 윤리위는 블라터 회장과 발케 사무총장이 나의 편지 사본을 보고 ‘놀랐다(surprise)’고 진술한 내용의 문서를 내게 보낸 뒤 이 편지들과 관련해 수많은 질문을 던지면서 강도 높은 조사를 했다. 그러나 2010년 11월 발케 사무총장이 나와 한승주 유치위원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당신들의 설명을 듣고 이 사안을 종결했으며 윤리위에 보내지 않겠다’고 밝힌 서신의 존재를 윤리위에 통지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고 밝혔다.
이어 “윤리위의 조사가 진행되던 지난 8월 언론에는 2010년 내가 아이티와 파키스탄에 기부했던 재난 구호 성금이 조사대상이라는 보도가 흘러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위의 두 나라 이외에도 여러 재난피해 국가들에 제가 꾸준히 구호성금을 보냈다고 반박하자 구호성금 관련 문제는 슬그머니 자취를 감췄다”고 덧붙였다.
정 명예회장은 “FIFA 윤리위의 악의적 제재를 바로잡기 위해 내주 초 스포츠중재재판소(CAS)를 포함한 모든 법적인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라며 “영국 런던에서 최근 밝힌 것과 같이 블라터 회장의 비자-마스터카드 사기사건, FIFA 집행위의 승인 없이 받은 본인의 연봉 등에 관한 배임 횡령 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것이며, 부당한 제재로 저의 명예를 훼손한 FIFA 윤리위에 대해서도 상응한 법적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대응책을 밝혔다.
김태현 기자 taehyun@kmib.co.kr
정몽준 명예회장, 자격정지 6년 징계 내린 FIFA 상대로 법적 대응
입력 2015-10-09 14:25 수정 2015-10-09 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