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2015년 10월 6~8일(3일간) 전국 성인 1003명에게 후보를 공천하는 과정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 중 어느 쪽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하는지를 물은 결과 우리 국민 74%는 '일반 국민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고 봤고 '당원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는 12%에 그쳤으며 6%는 '반반/비슷하게 반영해야 한다',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우리 국민 대다수가 특정 정당에 가입하고 있지 않음을 감안할 때, 정당 후보 공천 과정에 일반 국민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 우세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일반 국민의 국회, 정치인, 정당에 대한 불신 정도가 높은 탓에 정치권에 일임할 수 없다는 의지의 표출로도 읽힌다.
현재 각 정당에서는 경선 룰과 함께 전략 공천 필요성과 기준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전략 공천은 여성, 소수자, 정치 신인의 등용문이 되어 왔으나, 당 지도부의 계파 챙기기 등 당내 갈등과 논란의 불씨가 되기도 했다.
공천 방식에 대해 물은 결과 우리 국민 54%는 '모든 지역구에서 정당 후보를 뽑는 경선을 해야 한다', 28%는 '일부 지역구의 경우 경선을 하지 않고 공천위원회가 후보를 지명하는 전략 공천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18%는 의견을 유보했다.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전 지역구 경선' 의견이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 볼 때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전 지역구 경선'(45%)과 '일부 전략 공천 필요'(34%) 격차가 크지 않은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에서는 '전 지역구 경선'(65%)이 '일부 전략 공천 필요'(25%)를 크게 앞섰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였다. 응답률은 17%(총 통화 5,764명 중 1,003명 응답 완료)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국민 74%, 공천때 당원 보다 국민 의견 더 반영” 당원 더 반영 12%불과
입력 2015-10-09 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