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과거언급 교과서 이념편향 수용불가 수차례 천명

입력 2015-10-08 17:23
청와대사진기자단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國定)화 결정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교과서 문제에 대한 언급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역사 교과서 문제를 공식석상에서 수차례 얘기하면서 ‘이념적 편향성’ 문제에 대해선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상태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직접 말한 적은 없지만 발언의 맥락을 보면 교과서 국정화가 불가피하다는 단호한 입장이 배여 있다.

박 대통령이 회의에서 이념 논란을 빚고 있는 ‘교과서’ 문제를 직접 거론한 것은 두 차례이고 ‘교과서’란 표현 없이 ‘교육현장에서의 역사왜곡’을 거론하며 문제의식을 드러낸 것은 한 차례다.

박 대통령은 우선 취임 첫해인 2013년 6월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 문제를 처음 거론했다. 박 대통령은 “교육현장에서 진실을 왜곡하거나 역사를 왜곡하는 것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며 “성장기 아이들이 가져야 할 기본 가치와 애국심을 흔들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의 희생을 왜곡시키는 것으로서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새 정부에서는 반드시 바로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해 9월 국무회의에선 역사교과서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다음 세대에게 바른 역사를 가르치고 정확한 사실에 입각한 균형 잡힌 역사관을 갖게 하는 것은 우리 세대에 부여된 중요한 책무”라며 “무엇보다 학생들이 보게 될 역사교과서에 역사적 사실 관계가 잘못 기술되는 일이 없어야 하고 교과서가 이념논쟁의 장이 되는 일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부는 한국사 교과서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해 수정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조속히 수정보완하라”며 “지금까지 한국사 교과서를 검정할 때마다 논란이 반복돼 왔는데 그 원인이 무엇인지 검토해 더 이상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실한 대책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도 했다.

지난해 1월 교육·문화 분야 업무보고에서도 박 대통령은 다시 한번 이념적 편향성에 대해 ‘수용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의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에 많은 사실오류와 이념적 편향성 논란이 있는 내용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교육부는 이런 문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사실에 근거한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 개발 등 제도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청와대와 정부 입장은 박 대통령 말씀에서 변한 게 없다”며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