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당청갈등 물타기 꼼수” 전병헌 “내년 총선 위한 포석”

입력 2015-10-08 09:02

전병헌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은 8일 정부ㆍ여당이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는 배경엔 내년 총선을 위한 포석이 깔려 있다고 말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나와 “정부ㆍ여당이 요며칠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갑자기 속도를 내고 있다”며 “짧게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리겠다는 오픈프라이머리로 당청이 갈등 빚어진 걸 국정화 문제로 물타기하려는 꼼수를 쓴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길게는 총선을 앞두고 이념 논쟁을 끌고가 보수층과 새누리당 지지층을 강화ㆍ단결시키는 효과를 노리고 있지 않나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 방식을 통해 단일화하겠다는 건 역사적 상상력ㆍ해석을 획일화하겠다는 전체주의적 발상”이라며 “세계적으로 북한, 몽골, 스리랑카, 베트남 등 4개 정도만 하는 것으로, 박근혜 정권이 입만 열면 종북 척결을 외치면서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건 전형적인 종북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전 최고위원은 정부ㆍ여당이 이런 시도를 하는 이유로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권의 뿌리는 친일과 독재로, 이를 미화하려는 것”이라면서 “민주화 과정도 폄훼하겠다는 의도도 있다고 보여진다. 정치적 의도를 갖고 역사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획일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입장을 국민에게 주입시키겠다는 발상“이라고 했다.

그는 일부 역사 교과서가 실제 이념 편향적 기술(記述)을 하고 있다는 지적엔 “일부 그런 기술이 있다고 해도 결과적으론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국민 가운데 북한 체제가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거의 없다”며 “편향적 역사 의식을 갖고 있는 교과서는 시장에서 토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 최고위원은 유력인사들을 공산주의자로 지칭해 파문을 일으킨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과 관련해선 “고 이사장은 기본적으로 북한 체제가 대단히 우월하고, 영향력이 세서 김일성 장학생을 대한민국에 박아놓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며 “사고가 정상적인 분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1차적으론 고 이사장의 자진사퇴, 2차적으론 그를 임명한 방송통신위원장의 해촉, 최종적으론 박근혜 대통령의 조치를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