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한목소리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필요성 주장

입력 2015-10-07 16:14
국민일보DB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한목소리로 현행 중·고교 한국사교과서의 좌편향 문제를 지적하며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힘을 실었다.

김무성 대표는 7일 서울 쉐라톤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세계한인회장단 초청 재외동포정책 포럼에서 “우리 미래세대가 긍정적·창의적 사고를 갖고 도전함으로써 우리나라를 발진시키도록 하려면 역사교과서를 국정 교과서로 전환하는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도 “중·고교 역사교과서가 출판사별로 일관되게 우리의 역사를 부정하는 반(反) 대한민국 사관으로 쓰여져 있다”며 “학생들이 배우면 배울수록 패배감에 사로잡히고 모든 문제를 사회 탓, 국가 탓 하는 국민으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체사상이 북한의 실정에 맞춰 주체적으로 수립한 사회주의 사상’(비상교육), ‘우리식 사회주의를 강화하다’(두산동아) 등 일부 역사교과서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고교 교과서는 북한 체제가 매우 정상적인 것처럼 서술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현대 중·고교 역사교과서가 대한민국을 부정하다보니 남북 분단의 책임을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있다고 가르치고 있다”며 “좌파적 세계관으로 민중혁명을 가르치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이정현 최고위원도 “한 회사 집필진 6명이 다른 해에는 다른 출판사로 그대로 옮겨가 똑같은 내용을 그대로 기술하고 있다”며 “역사 교과서가 국민 모두를 위한 것이기보다는 소수의 편향된 의식을 가진 집필진들의 전유물이 돼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균형 잡힌 역사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국사 교육의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통령께서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한 적이 있다”며 “이것이 청와대의 최종적 입장이고, 그 이후로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관련해서는 “교육부와 새누리당이 교육적 관점에서 정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