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고지혈증 진단을 받고도 치료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995년 도입된 이래 활발히 시행 중인 국가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질환의 조기 발견에는 크게 기여했지만 진단 후 사후관리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조비룡(왼쪽), 신동욱(오른쪽) 교수와 국립암센터 안은미 연구원은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2차례 이상 받은 수검자 46만5499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11만4085명(24.5%)이 고지혈증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중 고지혈증치료제 스타틴(statin)을 6개월 이내에 처방받은 환자는 전체의 8.6% 수준인 9842명에 불과했다. 다음 국가건강검진 전까지 추가로 스타틴을 처방받은 환자는 4101명(3.6%)이었다. 이들을 모두 합치더라도 10%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검진 후 고지혈증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스타틴은 고지혈증 치료에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약물이다.
신 교수팀은 다음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검진 전까지 스타틴을 처방받은 환자를 제외한 5만1853명을 다시 분석했다.
그 결과, 2만785명이 이전 검진에 이어 또 다시 고지혈증을 진단받았다. 하지만 이들중 6개월 이내에 스타틴을 처방받은 환자는 고작 2529명(12.2%) 뿐이었다. 이들 환자 중 고혈압(14.1%), 당뇨(12.9%), 흡연(7.5%) 등 고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의 스타틴 처방률도 높지 않았다.
고지혈증은 혈액 내에 지방성분이 정상보다 많은 상태다. 지방성분이 혈관벽에 쌓이면 염증을 일으켜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고지혈증의 치료로는 스타틴과 같은 약물치료가 대표적이다.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절반 가까이 줄이고 비용대비 효과도 탁월하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국가차원에서 고지혈증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체크, 약물치료, 생활습관 교정 등이 병행되고 있다. 특히 영국에서는 2009년 전국민을 대상으로 고지혈증을 포함한 검진 프로그램(NHS Health Check)을 시행한 이후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제 처방률이 14%(시행 전)에서 60.5%(시행 후)로 크게 올랐다.
신 교수는 “영국에서는 NHS 검진에서 질환이 발견된 경우 모두 일차의료인으로부터 관리를 받을 수 있게 의뢰가 이뤄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통지서 한 장으로 끝나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현행의 검사 시행 중심의 검진 체계를 일차의료인이 주축이 된 검진 후 관리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질병관리본부의 의뢰 및 지원으로 시행됐으며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고지혈증 진단받고도 방치하는 환자 많다
입력 2015-10-07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