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 세계관으로 민중혁명 가르치고 있다” 김무성, 비상교육 두산동아 등 거명

입력 2015-10-07 09:14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7일 현행 중·고교 역사교과서에 대해 "출판사별로 일관되게 우리의 역사를 부정하는 반(反) 대한민국 사관으로 쓰여져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이같이 지적한 뒤 "좌파적 세계관에 입각해서 학생들에게 민중혁명을 가르치는 의도로 보여진다"며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분단의 책임이 있다고 가르치고, 산업화 성공을 자본가의 착취로 가르치고 있다"며 "학생들이 배우면 배울수록 패배감에 사로잡히고 모든 문제를 사회탓, 국가탓으로 하는 국민으로 만든다"고 평가했다.

특히 "북한은 3대 세습 독재국가로, 완전히 실패한 국가인데도 현재 고교 역사교과서를 보면 마치 매우 정상적인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체사상은 북한의 실정에 맞춰서 주체적으로 수립한 사회주의 사상'이라는 내용이 담긴 비상교육 고교 교과서, '우리식 사회주의를 강화하다'는 단원 제목이 등장하는 두산동아 교과서 등을 구체적으로 거명한 뒤 "분단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사안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주관적 역사관을 갖고 쓴 표현들이 많다"고 비판했다.

지난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금성출판사의 한국사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을 소개하면서 "우리 학생들이 왜 북한의 주체사상을 배워야 하느냐"고 힐난했던 김 대표가 이날 또다시 이 문제를 집중 부각시킨 것은 당·정·청이 공감하고 있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필요성에 대한 의지를 재차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어 김 대표는 노동개혁과 관련, "어렵게 성사된 (노사정) 대타협은 개혁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실질적인 개혁은 아직 궤도에 오르지 못했다"면서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노사정은 노동개혁이 입법에 반영되도록 하루빨리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주식·부동산 매각을 통한 임금인상을 주장한 것 등을 비판하면서 "노동계 일각의 억지 주장을 극복하고 노동개혁을 완성하려면 정부와 국회가 강인한 책임감과 의지를 갖고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