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은 6일 국립대학병원의 '3분 진료' 행태가 여전해 진료시간에 따라 진료비를 책정하는 '시간병산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서울대학병원을 포함한 6개 주요 국립대학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 상반기 외래진료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평균 진료시간은 전남대가 3.8분으로 가장 짧았고, 서울대(4.4분)가 뒤를 이었다.
또 충북대(5.1분), 부산대(7.3분), 강원대(8.3분), 경상대(8.8분) 등의 순이었다.
이는 의사의 근무시간과 외래환자 수를 비교한 수치로서, 환자가 들어오고 나가는 시간이나 의사가 자리를 비운 시간 등까지 포함하면 진료시간은 통계치의 절반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는 게 이 의원의 주장이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진료를 못하는 데는 의료수가가 낮은 점과 함께 환자의 대학병원 쏠림 현상도 한 몫 했다.
이 의원은 "의료진과의 인간적인 대화, 애틋한 말 한마디가 환자에게는 치료이자 최고의 서비스"라면서 "질병의 정도에 따라 진료시간을 달리해 진료비가 책정되는 시간병산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병원 3분 진료 아예 관행화됐다” 전남대 3.8분, 서울대 4.4분
입력 2015-10-06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