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 주도권 전쟁 2라운드

입력 2015-10-06 16:42
새누리당 총선 룰 전쟁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핵심은 ‘우선추천제도의 범위와 선정 방식’ ‘후보 선출 과정에서 적용될 당원과 일반 국민 참여 비율’이다.

김무성 대표가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공언을 지킬 수 있도록 우선추천제도의 전략공천 변용 우려를 막느냐와 경선에서 일반국민의 참여 비율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느냐가 관전 포인트다.

김 대표는 6일 국회 헌정기념관 세미나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대구·경북(TK) 지역도 우선추천지역에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지난해 2월 25일 상임전국위원회 회의록을 보라. 거기에 답이 다 나와 있다”고 즉답을 피했다.

당시 새누리당 상임전국위는 ‘공천권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준다’는 명제를 담은 지금의 당헌·당규 개정을 의결했다. 문제의 ‘전략지역’을 ‘우선추천제도’로 바꾼 날이다.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참여한 김세연 의원은 당시 회의에서 “기존 당헌에는 전략지역 선정 때 공천관리위원회에 상당한 재량을 주는 표현이 있었다”며 “새 당헌에는 우선추천지역의 정의를 두 가지로 엄격히 제한해 전략지역이 담고 있던 자의성을 엄격히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정치적 소수자 추천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한 지역, 공모에 신청한 후보가 없거나 추천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으로 한정했다는 뜻이다. 김 대표 발언이 ‘새누리당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은 포함될 수 없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도 오전 라디오에 나와 “정치적인 상대를 제압하기 위해 내리꽂는 전략공천은 완전히 없어졌다고 자부한다”며 “(대구·경북에서) 우선추천이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유철 원내대표는 “특정 지역은 안 된다고 미리 예단해서 배제하면 당헌·당규가 제 기능과 제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며 “당헌·당규는 전 지역, 전 당원을 다 적용할 수 있다”고 했다.

당헌 개정작업에 참여했던 한 당직자도 “공천관리위원회가 우선추천지역을 정하도록 규정돼 있는 건 변함이 없다”며 “범위를 제한했을 뿐 지역 선정에서 위원회 판단의 자의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당시 상임전국위 회의에서 “공천권을 내려놓고 팽개치듯이 두는 것이 아니다”며 “당의 책임 하에 공천이라는 과정을 통해 입후보자를 걸러야 하고 그 책임을 당이 받아야 하는 것”이라고 했었다.

경선 과정에서 일반 국민과 당원의 참여 비율 역시 충돌 지점이다. 친박(친박근혜)계 서청원 최고위원과 홍문종 의원은 공천 과정에서 국민과 당원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는 규정을 근거로 ‘당원 50% 반영’을 주장하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국민과 당원 1대 1 비율은 오랫동안 당이 선거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온 일종의 철학”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 대표는 “향후 구성될 특별기구에서 논의될 이야기”라며 선을 그었다.

한편 원 원내대표는 공천 룰 관련 특별기구 구성과 관련,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의 공천 심사와 결정에 관련해서는 사무총장이 해 왔던 게 관례이지만 이번에는 새로운 공천 룰을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며 “노동시장선진화특위, 역사교과서개선특위처럼 당내 특별기구를 만들 때에는 최고위원들이 맡아서 추진하도록 한 게 최근의 관례”라고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