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연일 한국사 교과서의 편향성 논란을 부각시키며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國定) 전환을 위한 여론전에 나서고 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6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편향성 논란의 진원지인 고교 한국사 교과서 7종의 근현대사 분야를 22명이 집필했는데 그중 18명이 특정 이념에 경도된 사람들”이라며 “특히 (이들 중) 이적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전교조 출신이 10명이나 포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교조 교과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편향성만 남은 역사교과서의 검정 발행 체제는 실패했다”고 강조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현재 역사교과서는 주체사상을 노골적으로, 의도적으로 예시하는 경우가 많다”며 “김일성의 확실치도 않은 항일운동 이력을 부각하는 내용도 있다”고 거들었다. 또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사건을 다루면서 북한의 소행이라는 점을 다루지 않는 교과서도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김무성 대표를 필두로 한 당 지도부는 청와대와의 교감을 통해 한국사 교과서 문제를 집중 거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이 박근혜정부의 중점 과제에 또 다시 총대를 멘 모양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보수층 결집 효과를 기대하는 심리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회를 꾸리는 등 국정화 추진에 강력 반대하고 있다. 새정치연합 조정식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성낙인 서울대 총장에게 이에 대한 입장을 따져 물었다. 성 총장은 “역사교사와 학자들이 공론의 장을 마련해 합의해야 한다”고만 답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연일 한국사교과서 국정전환 밀어붙이는 새누리당
입력 2015-10-06 1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