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달로 15분이면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음악은 기술이 아니라 창의력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죠.”
저스틴 팀버레이크, 브리트니 스피어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등 미국 유명 팝스타들의 음악을 만들어 낸 세계적인 프로듀서 네이트 데인저 힐스의 말이다. 2006~2007년 2년 연속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한 힐스는 6일 서울 동대문구 동대문디지털플라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프로듀싱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라며 “아티스트의 창조물을 대중에 전달하는 관문 같은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힐스는 이날부터 3일간 열리는 ‘2015 서울 국제 뮤직 페어’(뮤콘)에서 ‘음악 프로듀싱의 미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힐스는 발전된 기술이 음악 창작 환경과 시장을 바꿨다는 점을 설명했다. 그는 “저는 뮤지션이기도 해서 악기를 다룰 줄 알지만 어떤 프로듀서는 악기는 전혀 못 다뤄도 음향기기를 잘 다뤄 프로듀싱을 하기도 한다. 기술이 음악 환경을 움직이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음악을 완성시키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창의력과 표현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음악에 우열을 가리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그는 “음악은 표현이다. 아티스트의 표현을 좋다, 나쁘다 판단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도 음악 환경에 큰 변화를 갖고 왔다고 설명했다. 힐스는 “자신의 음악을 홍보하기 위해 유명해질 필요가 없다. 동영상을 직접 만들고 노래를 스스로 녹음하면 된다”고 했다. 무명의 신인이 9개월 뒤 음반 시장의 주류가 되는 상황에 이를 정도라고 설명했다. 다만 스트리밍 서비스의 수익금을 어떻게 나눠야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고 했다.
그는 또 미국에서 신인을 발굴하는 방법의 다양성도 소개했다. 라디오, 음반, 유튜브 동영상, 다른 뮤지션과의 공동작업 등으로 인지도를 넓혀나간다고 했다. 대형 기획사에서 신인을 키우는 우리나라와는 확연히 다른 상황이다.
K팝에 대해서는 “솔직히 잘 모른다. 음악을 찾아듣는 편이 아니라 음악에 노출됐을 때 그냥 듣는 스타일이라 그렇다”고 말했다. 다만 K팝이 세계 시장에서 더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렇게 조언했다. “세계의 음악 요소를 합치는 게 해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음악에 전 세계 문화를 담는다면 어떤 문화에 있는 사람들이나 노래를 듣고 좋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네이트 데인저 힐스, "K팝, 세계 문화 담으려고 하면 더 많이 사랑 받을 것"
입력 2015-10-06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