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를 막으려면 나이가 들어서도 끊임없이 배우고 익히는, 평생교육을 이어가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경과 서상원(사진)·김준표 교수팀과 건강의학본부 신희영·강미라 교수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 엘리세오 겔라(Eliseo Guallar) 교수팀과 공동으로 노인성 치매를 피하는데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규명, 뇌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지 ‘뉴롤로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 교수팀은 지난 2008년 9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녀 1959명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두뇌건강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나이는 63.8세로 검사 전 모두 정상적인 인지 기능을 가진 상태였다. 서 교수팀은 이들을 학습기간 12년 이하(대졸 중퇴 이하) 977명(A)과 그 이상(대학원 이상)인 982명(B) 그룹으로 나누어 대뇌피질의 두께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나이를 비롯해 고혈압, 당뇨 등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학습기간의 차이에 따라 대뇌피질의 두께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A그룹은 B그룹보다 대뇌피질 두께가 평균 2μm 얇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나이에 따른 대뇌피질 감소폭도 학습기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기간 12년 이하인 A그룹의 경우 나이가 1살씩 증가할 때마다 대뇌피질 두께가 6μm씩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반면, 12년 초과 B그룹은 5μm씩 감소했다.
학습기간이 긴 그룹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교육으로 뇌노화가 지연돼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결과다. 치매예방을 위한 가장 손쉬우면서 효과적인 방법이 두뇌활동을 늘리는 것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대뇌피질은 전체 뇌신경의 25%가 모여있으며, 우리 몸의 감각이나 운동기능을 비롯해 인지, 기억, 의식 등을 관장한다. 나이가 들수록 대뇌피질의 두께가 감소하며, 이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
게다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대뇌피질의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경우가 많아 대뇌피질 두께 감소는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치매 예방엔 교육 효과가 최고다
입력 2015-10-0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