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윤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이사장, '남북 교류협력이 통일로 가는 지름길’

입력 2015-10-05 18:03

“남북의 교류협력이 통일로 가는 지름길이다.”

기독경영연구원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통일’을 주제로 지난 3일 서울 마포구 신원빌딩에서 개최한 포럼에서 주강사로 나선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김영윤 이사장(사진)은 이같이 주장했다.

‘통일과 남북교류협력’을 제목으로 발표한 김 이사장은 “사람도 자주 만나서 대화를 해야 서로의 생각을 알 수 있듯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려면 끊임없는 대화와 접촉이 있어야 한다”며 “남북의 교류협력이 통일의 추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 남북한 통일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독일의 통일과정을 예로 들며 “베를린 장벽은 동독사람들이 서독으로 밀고 들어오면서 무너졌고, 당시 동독사람들은 서독의 체제로 통일하기를 원했다”며 “이는 서독이 자신들보다 훨씬 잘살고 민주화됐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분단 상황에서도 이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것은 서독과 동독간의 교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베를린 장벽이 이와 같은 이유로 무너진 것을 알고 있음에도 장벽 붕괴 후 26년 동안 남과 북은 활발히 교류하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이는 그동안 북한을 정치적으로만 이용하려한 정부의 정책에도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북한 주민의 대부분은 남한의 경제력이 북한보다 월등히 앞선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마치 동독 주민이 서독 주도의 통일을 원했듯 북한 주민이 남한 사회를 택함으로써 통일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교류와 협력이 ‘북한 퍼주기’라는 지적에 대해 “북측의 변화의지가 부족하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라며 “변화는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남과 북의 공동 관심사에 대한 협력사업을 통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남과 북의 교류를 통해 먼저 경제와 문화 분야의 통합을 이뤄 낸다면 정치나 제도의 통합은 더 수월하게 이뤄질 것”이라며 “경제협력이 북한의 제도개선을 동반토록 해 북한 개방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