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의 동북아역사재단 등 교육부 산하기관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게 십자포화를 가했다. 역사왜곡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를 옹호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정부·여당이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國定) 전환을 밀어붙이자, 이를 차단하기 위해 파상공세를 퍼부은 것으로 해석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박혜자 의원은 5일 국회에서 열린 교문위 국감에서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 이사장이 2013년 교학사 교과서를 비판한 야당 의원들에 대해 ‘유언비어를 유포하고 국민을 세뇌시켰다’고 매도한 단체의 성명에 참여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김 이사장은 “교수 시절 개인적 소신을 피력한 것”이라며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몸을 낮췄다.
야당 의원들은 언론 기고문 등을 통해 김 이사장이 ‘친일·독재 미화’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이사장은 “기억이 잘 안 난다”면서 즉답을 피했다.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는 “국정과 검·인정에 대해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단답형으로 답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지도부는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이념 편향성’ 문제를 또 다시 지적하면서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전환 필요성을 거듭 제기했다. 국정 전환을 추진하는 교육부가 최근 고교 한국사 6종 교과서 집필진이 법원의 수정명령에 불복한 데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자, 새누리당이 국정 전환 문제를 적극적으로 공론화하며 보조를 맞춘 것으로 분석됐다.
김무성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부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해 “우리 아이들에게 도대체 무엇을 가르치려 하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한국사 교과서는 바뀌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김일성 주체사상과 선군정치, 사회주의 강성대국론 등을 다룬 참고서의 사례를 일일이 언급하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왜 김일성 주체사상을 배워야 하느냐”고 지적했다.
김을동 최고위원은 “역사 교육이 국민 갈등·분열을 일으키는 논쟁 수단으로 전락했다”면서 “올바른 역사관, 세계관을 정립해야 할 학생들이 정쟁 논란 속에서 학습권을 침해받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우리 헌법정신에 부합하는 교과서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거들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교문위 국감서 도마에 오른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 문제
입력 2015-10-05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