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그만하라” vs 서청원 “이제 용서 않겠다”…총선룰 계파 갈등 최고조

입력 2015-10-05 16:33
<2015년10월05일 이병주기자 ds5ecc@kmib.co.kr>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오른쪽)이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제도' 관련 김무성 대표를 비판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면 충돌했다. 당 1·2인자이자 비박(비박근혜)계와 친박(친박근혜)계를 대표하는 두 사람이 공개석상에서 언성을 높이며 험악한 장면을 연출한 것이다. 내년 총선 공천 주도권을 둘러싼 계파 갈등도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대표가 ‘우선추천지역’(우선추천제)은 수용할 수 있다는 의사를 한 언론에 밝힌 것에 대해 “당 대표가 떡 주무르듯 당헌·당규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표현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김 대표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잠정 합의했던 ‘안심번호 공천제’를 언급, “이 당은 대표가 주인이 아니다”면서 “누가 지시해서 당에서 하나도 논의 안 된 것을 법제화하려는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 대표는 “나는 참고 있다. 청와대도 참고 있다. (김 대표가) 쓸데없는 것을 부각해 긁어 부스럼을 만들고 있는데 이제는 용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김 대표도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김 대표는 “최고위에서 공개, 비공개 발언을 구분해달라고 부탁했는데, 이게 잘 지켜지지 않아 참 아쉽다”며 서 최고위원을 겨냥했다. 김 대표는 이어 “전략공천의 폐해를 경험했기에 이를 없애고 정치적 소수자와 현저히 경쟁력 낮은 지역, 취약지역 같은 데에 우선추천을 할 수 있게 하자는 설명을 했을 따름”이라면서 “이게 그 언론사에서 보도된 것까지 책임질 일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대표는 “당헌·당규대로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면서 “이미 많은 과정을 거쳐서 당론으로 정해진 상향식 공천,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준다는 약속만 지켜지면 싸울 일도 없고 다른 문제도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서 최고위원은 “나도 공개·비공개 구분하는데, 김 대표가 솔직히 언론 플레이를 너무 자주 한다”고 재차 비판했고, 이에 김 대표가 “그만 하자”고 거듭 요구해 회의는 서둘러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번 충돌은 김 대표 측이 “친박계가 ‘전략공천’을 통해 공천권을 거머쥐려 한다”고 비판하며 명분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려 하자, 친박계가 반격에 나서면서 벌어졌다. 특히 친박계는 김 대표의 우선추천제 발언을 두고 “김 대표가 공천권에 개입할 여지를 보인 것”이라며 공격하고 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는 20대 총선 후보자 공천 방식을 결정할 특별기구를 구성할 예정이었으나 위원 구성을 놓고 계파 간 이해가 충돌하면서 구성안은 의결되지 못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