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이 분열 초래했다”…與, 국정교과서 공론화 가속도

입력 2015-10-05 12:36

새누리당이 현행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이념 편향성' 논란을 집중 부각시키면서 국정 교과서 전환문제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하는 모습이다.

교육부가 최근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 및 출판사들의 검정교과서를 강도높게 비판하면서 국정교과서 전환의 '사전포석'을 깔았다는 해석이 나온 데 이어 이런 기조에 '보조'를 맞춰 당·정 공조 체제를 구축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무성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시중의 일부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해 "우리 아이들에게 도대체 무엇을 가르치려 하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한국사 교과서는 바뀌어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통일 이전 서독의 사례를 소개한 뒤 "기민당이든 사민당이든 동독을 일절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고, 그렇게 학생들에게 가르쳤다"면서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상당히 걱정스러운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특히 "한 개 교과서가 1948년 8·15에 대한민국 건국을 기술했는데 놀랍게도 교육부가 '잘못됐으니 시정하라'는 공문을 보낸 것을 확인했다"면서 "이는 상해 임시정부가 (국가의) 모태이고, 정통성이 북한으로 넘어갔다고 가르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학은 학문의 자유가 있으니 이런 저런 범주 안에서 (여러) 이론을 가르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초·중·고교는 대한민국 헌법에 부합하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을동 최고위원도 "우리나라 현 주소를 보면 역사교육이 국민 갈등·분열을 일으키는 논쟁수단으로 전락했다"면서 "올바른 역사·세계관을 정립해야 할 학생들이 정쟁 논란 속에서 학습권을 침해받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김 대표가 사례로 든 한국사 교과서를 언급한 뒤 "이 정도면 북한 교과서인지 대한민국 교과서인지 의심이 들 정도"라면서 "우리 헌법정신에 부합하는 교과서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가세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