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문재인 대표 재신임 논란이 진화된지 얼마되지 않아 또다시 지도체제 개편 논란이 백가쟁명식으로 끓어오르고 있다.
지도체제 개편론의 핵심은 문재인 대표를 비롯한 현재 지도부로는 내년 총선 승리를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도부를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은 지난달 20일 문 대표의 재신임투표 논란이 불거졌을 때 당무위원회-의원총회 연석회의까지 열어 ▲재신임 확인 ▲대표 거취를 둘러싼 분열적 논란 배제 ▲정기국회 전념 등 결의문을 채택했지만 잉크가 마르기 무섭게 당시 결의문을 무색케 하는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이번 지도체제 개편론에서 주목할 부분은 그동안 문 대표에 각을 세워온 비주류 외에 중간지대 인사들도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간지대 중진급 인사 8명이 결성한 가칭 '통합행동'의 구성원인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통합전대론을 주장하며 전면에 선 형국이다. 박 전 원내대표는 무소속 천정배 박주선 의원, 정동영 전 의원까지 포괄하는 전당대회를 통해 지도부를 새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문 대표도 전대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통합행동은 아직 단일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터라 구성원별로 온도차를 드러내고 있다.
민주정책연구원장인 민병두 의원은 야권 전체의 통합보다 당내 통합이 우선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MBC 라디오에 출연, "야권 전체가 하나로 돼야 한다고 요구하려면 우선 당이 하나로 통합돼 실력을 키우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밖에 있는 분들과 통합을 우선 얘기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또 당내에 거론되는 조기 선대위론, 조기전대론, 문 대표의 '희망스크럼' 내지 '최고지도자 연석회의' 구상 등을 소개한 뒤 "(통합행동은) 당이 하나로 되기 위한 압박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합행동 구성원인 김영춘 전 의원도 "지금까지 합의본 것은 정기국회 때는 민생투쟁에 전력하면서 당내 통합에 매진하자는 것"이라며 "당내 주류-비주류 통합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비주류는 한 발 더 나아가 조기 선대위론과 조기 전대론을 본격적으로 점화할 태세다.
강창일 의원은 당내 인사가 참여하는 선대위를 조기에 구성 후 당밖 인사들이 참여하는 2단계 선대위론을 주장하고 있다. 문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회는 일상적 당무만 수행하고 공천을 포함한 총선 업무는 선대위로 넘겨야 한다는 것이 강 의원의 생각이다.
그는 "상당수 의원과 교감을 확인했다"며 "국감이 끝나면 이 문제를 공론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강 의원의 구상에 동의하고 있다.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은 조기 전대론을 대체적인 해법으로 보고 있다. 최원식 의원은 "확정적이진 않지만 조기전대론이 비노(비노무현) 전체의 의견으로 모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민집모는 오는 12일 자체 혁신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문 대표를 비롯한 주류는 문 대표 거취를 둘러싼 논란을 벌이지 않겠다는 연석회의 결의가 이뤄진지 얼마되지도 않아 지도체제 개편 문제가 또다시 거론되는 것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기류다.
문 대표가 자체적으로 지도부의 뜻을 모아 총선 관련 체제 정비를 할 순 있겠지만 지금처럼 비주류나 중간지대 인사들이 나서서 사실상 거취 문제를 왈가왈부하는 상황은 연석회의 결의 위반이라는 것이다 .
문 대표는 이날 통합전대론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지나간 이야기 아닌가요"라고 넘겨받았다. 자신의 거취 논란은 재신임정국을 거치면서 해소된 것 아니냐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 측 인사는 "언제까지 이 문제에 붙잡혀 가야 하느냐. 다른 사람들이 흔드는 것에 대해 신경쓸 여유가 없다"며 "이제는 대표의 길을 가야 한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또다른 인사는 "통합전대를 하려면 조건과 환경이 맞아야지, 지금처럼 툭 던지는 식으로 해서 가능하겠느냐"며 "총선 승리에 필요한 기구나 체제도 만들 수 있겠지만 문 대표가 주도하는 형태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또다시 지도체제 개편 격랑에 휩싸인 새정치” 비주류, 조기 조기 전대론 불쑥
입력 2015-10-05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