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내년 총선 후보자 공천 방식을 결정할 특별기구를 5일 발족할 계획이다.
하지만 특별기구 구성 방식을 놓고 김무성 대표측과 당내 친박(친박근혜)계가 물밑에서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공식 출범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적지 않다.
공천 방식 결정을 위한 논의가 사실상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게 된 가운데 기구 구성에서 어느 계파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느냐가 공천의 희비를 가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양측 모두 양보 없는 대치를 팽팽하게 이어가는 형국이다.
이 때문에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기구를 만든다는 것에만 동의가 이뤄지고, 위원장과 위원, 명칭 등은 결정하지 못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핵심 당직자는 4일 "공천 논의를 위한 기구를 만든다는 데는 어느 계파든 이견이 없어서 월요일(5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에 구성 안건을 올려 의결할 것"이라면서 "다만 기구 구성을 비롯한 세부적인 내용은 추가 논의를 거쳐 추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위원장은 관례상 황진하 사무총장이 맡아야 하지만, 이 역시 논란이 만만찮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 측은 최대한 현재 국민공천제 TF의 인원 구성을 유지하고자 황 사무총장이 당연직 위원장을 맡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친박계는 새 판을 짜고자 새로운 인물을 임명하자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최고위원 중에서 비교적 중립적이고 양대 계파 모두에서 반대하지 않는 인사를 위원장으로 낙점하는 방안도 요구했다는 후문이다. 이 때문에 김태호, 이인제 최고위원의 위원장 임명설이 돌기도 했다.
만약 위원장 인선을 놓고 막판까지 양측의 의견 대립이 해소되지 않으면 결국 관례를 따를 수밖에 없어 황 사무총장은 여전히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일단 최고위원회의에 올라가는 초안은 황 사무총장이 당연직 위원장을 맡는 내용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위원장 인선과 관련해 "그것(위원장)은 사무총장이 맡는 게 당연한 이야기"라면서도 "(다른 최고위원들이) 반대하면 내일 못 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특별기구에 최고위원이나 외부 인사가 합류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나머지 위원 구성을 놓고도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김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는 기존의 '국민공천제 태스크포스(TF)' 구성원을 중심으로 양측이 원하는 인물을 일부 교체·보강하자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최대한 새로운 인물로 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공천제 TF는 비박계 우위로 구성됐던 만큼 새롭게 구성되는 특별기구는 중립적으로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게 친박계의 요구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김 대표 측은 당직자와 일부 평의원을 추가해 10여 명으로 특별기구를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황 사무총장을 비롯해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 전·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인 정문헌 이학재 의원은 일단 당연직 위원으로 거론되고 있다. 홍 1부총장과 정문헌 의원은 비박계로, 박 2부총장과 이학재 의원은 친박계로 분류된다.
나머지 위원으로는 친박계에서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 김태흠 의원 등이, 비박계에서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 김성태 박민식 의원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특별기구의 명칭을 놓고도 논란이 예상된다.
김 대표 측은 '국민공천 실현을 위한 특별위원회'로 가닥을 잡았지만 친박계는 100% 상향식을 의미하는 '국민공천제'로 논의를 한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예를 보면 결국 공천기구의 위원 구성은 양대 계파가 균형을 맞추게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렇게 되면 이해가 뚜렷한 양측이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공천 방식 협상은 논란만 거듭하다 결론 없이 마무리되고 공천제도는 큰 틀에서 현행을 유지할 공산이 작지 않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김무성 “공천특별기구 위원장 사무총장 맡는 게 당연” 위원 구성은 정면 대치
입력 2015-10-04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