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내 주류와 비주류 간 긴장이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 위원장 인선을 두고 다시 고조되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이르면 5일 위원장을 임명할 예정이지만 비주류가 최고위원회에 ‘단수 후보’로 추천된 동국대 조은 명예교수를 반대하는 상황이라 난항이 예상된다.
새정치연합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4일 기자간담회에서 평가위원장 인선에 대해 “빠르면 내일(5일) 의결을 하지 않을까 싶다”며 최고위원회에 조 교수가 단수후보로 추천됐다고 밝혔다. 주류 측에서는 당내 논란에도 불구하고, 조 교수가 평가위원장이 될 가능성을 높다고 보고 있다. 한 관계자는 “최고위 내 조율에 시간이 걸릴 것 같지만 5일 상정이 목표”라며 “일부 이견이 있었지만 거의 다 이야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조 교수를 반대하고 있다. 조 교수가 공천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지난 19대 총선 공천이 비례대표 문제 등으로 잡음이 많았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초선의원은 “그 때(19대 총선 공천) 친노(친노무현)의 계파 패권이 작동했다”며 “19대 총선 공천에 대한 평가가 안 좋은 편인데, 그 때 참여한 분을 평가위원장으로 인선하는 건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주승용 최고위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조 교수를) 반대하는 분들의 뜻에 동의한다”며 “실패한 공천심사를 했는데 평가위원장을 맡는 게 부적절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선출직평가위의 평가결과는 내년 총선 ‘하위 20% 공천 탈락’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당내 갈등을 촉발시킬 수 있는 예민한 문제다.
여기에 최근 여야 대표가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결국 모바일 투표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비주류 측의 반발도 나온다. 한 비주류 측 의원은 “안심번호로 한다는 건 모바일 투표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말로는 모바일을 통한 여론조사라는데 여론조사를 통한 공천도 부적절하고, 검표를 못 하는 것도 단점”이라고 지적했다.
주류 측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반발에 “어처구니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국민공천제는 이미 중앙위원회를 통과했다”며 “일부 소수의 개인적 의견으로 다시 검토하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했다. 다만 “기술적인 문제는 조율할 수 있다”며 “경선후보가 합의한다면 설령 안심번호가 입법화돼도 최고위 의결을 전제로 해당지역구는 100% 국민공천단이 아니라 일반국민 70%, 당원 30%로 공천단을 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또하나의 갈등 불씨-새정치연합 선출직 평가 위원장, 비주류 반발하는 조은 동국대 교수로 가나
입력 2015-10-04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