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총선에 적용할 지역구 숫자를 결정하지 못하자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원론적 반응만을 내놓는 등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다만 획정위가 기존에 제시한 244~249개 범위에서 결정을 내릴 경우 줄어드는 비례대표 숫자가 최대 3석에 그칠 것으로 추산된 만큼 비례대표 축소에 반대해온 야당 입장에서는 이날 연기가 반갑지만은 않은 분위기다.
새누리당이 이날 획정위에 결정 연기 요청을 하자고 제안했을 때 거절한 것도 이런 속내를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획정위에 빠른 결정을 공개적으로 촉구하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자칫 농어촌 지역구 수를 줄이겠다는 입장으로 비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복잡한 속내를 반영하듯 새정치연합은 획정위의 결론 불발 소식이 전해진 후에도 공식 반응을 극도로 자제하다가 1시간여가 지나서야 원론적 반응을 내놨다.
김성수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오늘의 연기는 헌재의 결정을 준수하면서 농어촌의 지역대표성을 확보하기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라며 "우리 당은 획정위원회가 독립적인 의사결정기구로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내리라 기대하고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비례대표 의석 수를 줄이는 것만이 해결책인 양 주장하는 것은 정치개혁의 본질을 외면한 정치공세로 매우 유감스럽다"며 여당을 비판했다.
특히 당내에서는 이번 결정을 두고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주류 진영을 중심으로는 여당의 압력으로 결정을 연기한 것이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정개특위 위원인 김기식 의원은 "선거구 획정위를 독립시킨 취지를 무력화시켰다"며 "내일이라도 회의를 재개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농어촌 의원들이 많이 포함된 비주류 진영에서는 "농어촌 지역구를 지키라는 국민의 여론이 반영된 결정"(이윤석 의원)이라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양측은 비례대표 의석수 가감을 두고도 의견이 충돌하고 있어 이후 논의에서도 험로를 예고했다.
주류 진영측에서는 비례대표 축소는 반대하고 있지만 농어촌 의원들은 비례 의석수를 조정해라도 농어촌 의석수를 지켜야 한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획정위 결과 기다리겠다” 野, 반응 자제…속내는 복잡
입력 2015-10-03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