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에서 다음달 초 사이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한일관계 회복에 힘쓴 일본의 두 원로가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우선 해결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연합뉴스가 2일 보도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는 이날 국군의 날과 개천절을 축하하기 위해 주일 한국대사관이 도쿄에서 개최한 리셉션에서 국내 취재진과 만나 “한·일 정상회담의 가장 큰 초점은 역시 위안부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으킨 것은 일본이므로 일본 측이 이를 해결해야 한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아베 신조 총리가 매우 큰 폐를 끼쳤다고 밝히고 어떻게든 이번 기회에 해결하고 싶다는 뜻을 확실하게 하면 한국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던 아시아여성기금의 전무이사를 지냈던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도 “정상회담에 앞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먼저 풀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작 중요한 것은 그 전에 준비를 하는 것이라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외교 당국이 교섭을 시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와다 명예교수는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논의가 대부분 마무리됐다는 분석에 대해 “교섭은 하지 않았다. 어떤 안이 있는지 서로 얘기를 했을 뿐”이라며 “(양국) 정상들은 교섭을 하라고 얘기해야 한다. 아직 그런 국면에 접어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전시체제 하에서 여성의 명예나 존엄이 상처를 받았다고 전후 70년 담화에서 두 차례나 언급했고 박 대통령에서 같은 문제를 최근 유엔 총회 연설에서 지적한 것을 거론하며 “정상회담 이후는 너무 늦는 만큼 그전에 빨리 교섭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나카타니 겐 방위상,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총무회장,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 이부키 분메이 전 중의원 의장, 하야시 요시마사 농림수산상 등 일본 정계 인사를 비롯해 유흥수 주 일본 한국대사, 청융화 주일 중국대사 등도 함께했다. 또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관계자를 비롯한 재일 한국인들도 다수 초청됐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무라야마·와다 “아베, 한일정상회담 전에 위안부 문제 해결의사 표명해야”
입력 2015-10-02 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