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일 평상시와 다름없이 일정을 소화했다. 전날의 ‘반짝’ 당무 거부를 접고 활동을 재개한 것이다. 내년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당청 갈등이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만큼 당분간 노동개혁과 정기국회 현안에 전념한다는 구상이다.
◆김 “전략공천은 옳지 못한 제도, 국민공천제는 끝까지 간다”=김 대표는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노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만났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추진에 잠정 합의했던 지난달 28일 한가위 회동 이후 처음이다. 김 대표는 기념식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여야 대표 발표문에) ‘안심번호를 활용한 전화 국민공천제는 국회 정개특위에서 추진하도록 강구한다고 분명히 돼 있다’는 점을 문 대표에게 말했다”고 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파기된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서다. 그러면서 “전략공천은 옳지 못한 제도다. 더 이상 이에 대해 논하지 않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1일 저녁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휴전’을 제의한 뒤 공천 문제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그렇다고 의지가 꺾인 건 아니다. 김 대표는 현 수석과 통화 후 가까운 의원들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국민공천제는 끝까지 간다” “전략공천은 절대 안 된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피력했다고 한다. 비슷한 시간 서청원 최고위원을 위시한 친박(친박근혜) 의원 7~8명도 만찬을 하면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했던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서 최고위원이 최고위에서 안심번호 제도를 세게 비판하고, 청와대도 김 대표와의 사전조율 내막을 공개하자 김 대표가 한 발 물러선 것 아니냐”면서 “특별기구가 출범하는 만큼 우리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 대표가 한가위 회동 이후 보여준 행보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린다. 김 대표 측 인사들은 “국민공천에 김 대표의 정치적 명운이 걸려있는 만큼 후퇴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러나 김 대표 전투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상하이 개헌 발언과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과정에서 김 대표가 결국 청와대 뜻에 따랐다는 이유에서다. 한 의원은 “‘정치는 타협’이라는 게 김 대표 소신이기 때문에 서로 명분과 실리를 챙기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지 않겠나”라고 했다.
◇與 특별기구 곧 출범, 시각차 뚜렷=내년 총선 공천 룰을 논의할 당내 특별기구 인선안은 오는 5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 보고될 예정이다. 최고위 의결을 거쳐 공식 출범하면 공천 문제는 특별기구로 넘어가게 된다. 양측의 시각차는 뚜렷하다. 김 대표 측은 전략공천을 배제한 상향식 공천 방식을 제도화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반면 친박은 전략공천의 길을 열어두는 데 사활을 걸 태세다. 한 의원은 “김 대표가 합의한 안심번호가 ‘의심번호’라는 게 점점 드러나고 있는데 왜 이 방식을 고집하는지 모르겠다”고 날을 세웠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온라인 편집=신은정 기자
끝까지 간다 vs 결국 청와대 뜻대로… 김무성 공천행보 극과 극
입력 2015-10-02 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