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의 선거구 숫자를 정하는 문제를 놓고 정치권 공방이 더욱 가열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독립기구인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2일 선거구 숫자를 244~249개 범위에서 하나로 정하기로 했지만, 여야의 입장차는 조금도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다. 여야를 막론한 농어촌 지역 의원들의 반발도 한층 거세지는 모양새다. 선거구획정위 안대로 지역구 의석수를 정하고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선거구 인구편차를 ‘2 대 1’로 조정하면 농어촌 지역구가 대폭 통폐합되는 문제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선거구획정위의 선거구 숫자 결정을 오는 8일로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획정위 안이 나오기 전에 농어촌 지역구 축소 문제에 대한 여야 의견을 선관위획정위에 제시하자는 취지였다. 이에 대해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국회에서 만나 논의했지만 새누리당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당의 입장을 못 정했다”면서 “8일까지로 미룬다고 해서 합리적 방안이 될 수 있느냐에 대해 우리 당에서 이견이 있다”고 했다. 당 내부에서 선거구획정위 절차를 예정대로 진행시키고 획정안이 넘어오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이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자는 의견이 나왔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의원 수를 현재보다 줄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비례대표 수를 줄여서라도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거듭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새정치연합은 농어촌과 지방을 죽이는 방안을 고집하지 말고 대화와 소통으로 농어촌 선거구를 살리는 방안을 함께 마련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전날 자신이 여야 대표 및 원내대표 회담을 제안했다가 거부된 데 대해선 “무책임의 극치”라고 날을 세웠다.
농어촌 지역 의원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공전하는 동안 선거구획정위가 마련한 범위에서 지역구 수가 결정되면 농어촌 지역 선거구 감소는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정개특위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의결로 획정안에 대한 변경을 한 차례 요구할 수는 있지만 그 전에 자신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것이다.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모임’ 소속 여야 의원들은 선거구획정위의 지역구 숫자 발표를 연기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 모임의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은 “여야 지도부가 조속히 협상하고 협상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획정위의) 단일안 발표를 잠정 연기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새정치연합 전남·북 지역 의원들은 문재인 대표와 국회에서 면담을 갖고 “농어촌 특별구를 만들어서라도 농어촌 지역구 축소를 최소화시켜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어떤 해법이 있을지 두루 검토했다”며 “(헌재가 결정한) 인구편차 2대 1을 지키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지만 농어촌 대표성을 살려나가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어떻게 잘 조화할지 강구하겠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선거구 숫자에 여야 공방은 더 가열
입력 2015-10-02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