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심야 강남역에서 승객 태우는 택시에 3000원 인센티브 논란

입력 2015-10-02 16:23
서울시가 심야 승차난이 심각한 지역에서 승객을 태우는 택시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택시 공급을 늘려 승차난을 해소하겠다는 취지지만 승차거부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심야 승차난 해소를 위해 강남역 일대에서 다음달말부터 연말까지 (가칭)‘택시해피존’을 시범운영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택시 공급이 부족한 금요일 심야시간대(오후 11시~다음달 오전 2시)에 해피존 내 지정된 승차대에서 승객을 태우는 법인·개인 택시에게 건당 3000원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해피존이 설치되는 곳은 신논현역사거리에서 강남역사거리까지 770m 구간이며 시범기간 중 인센티브는 택시조합이 부담한다.

공성국 시 택시정책팀장은 “강남역 일대는 금요일에는 택시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승차거부 단속으로는 승차난 해소에 한계가 있다”며 “택시 공급을 늘리기 위해 이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시는 시범운영구간 내에 택시승차대 3곳을 설치하고 이곳에서 순서에 따라 탑승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경찰관과 시·구청 공무원 등을 현장에 배치해 승차질서를 유도하기로 했다.

시는 해피존 운영의 효과를 분석해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내년에는 홍대입구나 종로 등 승차난이 심한 다른 지역으로 해피존을 확대하고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승차거부 택시를 강력하게 단속하지는 않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은 예산낭비라는 지적도 있다. 택시해피존 주변으로만 단기 운행을 하면서 인센티브를 챙기려는 택시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시 택시물류과 관계자는 “해피존 내에서 승객이 목적지를 묻지 않고 탑승하기 때문에 택시가 단거리 운행만 선택할 수는 없다”면서 “해피존을 운영하면서 승차거부도 지속적으로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