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의 공천 방식을 논의할 새누리당 내 특별기구가 출범도 하기 전에 난관에 빠졌다. 공천 룰을 둘러싼 계파 갈등이 불붙은 상황이어서 위원 선정부터 기 싸움이 치열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구성 주체를 놓고 여당 내 ‘투톱’이 서로 다른 구상을 내놨다. 김무성 대표는 1일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무총장이 안을 만들어야지, 나는 일일이 간섭 안 한다”고 했다. 반면 원유철 원내대표는 “특별기구 구성은 당헌당규에 따라 할 것”이라고 했다. 구성 주체가 최고위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됐다. 이날 열린 최고위 회의에선 특별기구 구성에 대해선 별다른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기구가 가동되면 결국 전략공천 가능성을 열어두느냐의 문제가 최대쟁점이 될 전망이다. 김 대표와 가까운 의원은 “많은 의원들이 전략공천은 안 된다는 명제에 공감하고 있다”며 “전략공천을 명시하는 순간 김 대표는 정치적으로 끝난다”고 했다.
이에 맞서 친박(친박근혜) 의원들은 현재 당헌·당규에 따라 공천을 하면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은 SBS라디오에 출연해 “현재 당헌·당규에 이미 전략공천은 없어졌다”며 “다만 우리 후보가 경쟁 후보와 비교해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질 때 경쟁력이 있는 사람을 모셔오도록 돼 있다”고 했다. 새누리당 당헌 중 ‘우선추천 지역의 선정’ 조항을 지목한 것이다. 이와 함께 경선 시 컷오프 비율, 당원과 국민의 경선참여 비율 등을 두고도 계파 간 충돌이 불가피하다.
당 관계자는 “이미 당내 ‘국민공천 테스크포스’에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안 될 경우를 대비해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했다”며 “그 이상 새로운 안이 나오기는 힘들 것”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공천룰’ 논의할 새누리당 특별기구 최대 쟁점은 ‘전략공천’ 친박·비박 힘겨루기
입력 2015-10-01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