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을 왜곡해 비난하고 있다” 친박 대 비박 갈등 확산일로

입력 2015-10-01 17:17
이동희기자 leedh@kmib.co.kr

내년 총선 공천방식을 둘러싼 여권 내부갈등이 확산일로다.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계가 책임론을 제기하며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철회를 요구하자, 김무성 대표가 1일 “사실을 왜곡해 비난하고 있다”고 되받아쳤다.

최고위원회의와 ‘국군의 날’ 기념식 참석 등 모든 일정을 취소한 김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를 발표하기 전에 청와대에 미리 알렸다”고 내막을 공개했다. 전날 청와대 관계자가 여야 대표 합의 전 내부조율 없었다고 비판한데 대한 반격이다. 김 대표는 “(청와대로부터) 찬성, 반대 의사는 듣지 않았지만 이런 방향으로 내가 전개하려고 한다는 것은 상의했다”며 “끝나고 난 뒤 발표문을 그대로 찍어 다 보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서 어떤 비판도 수용하지만 없는 사실을 가지고 자꾸 비난하면 당이 분열만 된다. 그럼 선거에 불리해진다”며 “야당은 분열됐고 우리는 그동안 잘 단결했는데 우리가 분열되면 똑같은 입장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친박계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안심번호(공천제)는 국민공천제가 아니다”라며 “(김 대표는) 안심번호로 국민공천제를 한다는 것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국민공천제가 안되면 우리는 우리대로 가면 된다고 하고, 선거구 등을 논의하면 되는데 긁어 부스럼을 만들고 당이 이 꼴에 왔다”며 “엉터리로, 미치는 영향도 모르고 대표에 (아이디어를) 갖다줘서 협의하도록 한 당내 (김 대표) 참모도 문제가 있다”고 책임을 물었다.

전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의 5가지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했던 청와대는 공개대응을 자제한 채 당내 논의과정을 지켜보겠다는 태도를 취했다.

여권 내부에선 공천 방식을 둘러싼 친박-비박(비박근혜) 갈등이 한쪽에서 물러서지 않으면 둘 다 파국으로 치닫는 ‘치킨게임’ 양상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큰 싸움이 돼버렸다”며 “당 지도체제가 바뀌어 새 공천룰을 만들던지 청와대가 당에 권한을 위임하고 손을 떼든지 둘 중 하나로 결론날 때까지 타협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