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이란이 지난 7월 이란 핵협상 타결 이래 처음으로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핵합의 이후의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은 유엔 총회가 열린 미국 뉴욕에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회담을 열어 대(對)이란 제재 해제 전망과 고위인사 교류, 경제·보건협력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외교부가 1일 밝혔다.
윤 장관은 "이란 핵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돼 제재가 해제되면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고, 자리프 장관도 "이란이 핵합의 의무사항을 신속하게 이행하고 있다"며 이르면 올해 안으로 제재 해제를 기대했다.
회담에서 자리프 장관은 윤 장관의 이란 방문을 요청했으며 우리 측은 외교 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가자고 답했다.
윤 장관은 아울러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김홍균 외교부 차관보, 조태용 외교부 1차관 등 우리 정부 고위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이란을 방문한 것을 들며 "경제 협력 활성화에 대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리프 장관도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 진출을 요청했다.
윤 장관은 이란 핵합의가 '대화를 통한 난제 해결'이라는 점에서 북핵 문제에도 시사점이 있다며 이 경험과 지혜를 동북아 지역 안정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기대를 밝혔다.
양 장관은 문화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은 지난 7월 이란의 핵개발 활동을 중단하는 대신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의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을 도출했다.
한·이란 외교장관이 회담을 한 것은 지난해 9월 유엔 총회 이후 처음이다. 양 장관은 지난 1월 다보스포럼에서 같은 세션에 패널로 참여한 적이 있지만 정식 회담은 1년 만이다.
윤 장관은 같은 날 앙골라,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걸프협력회의(GCC)와도 잇따라 양자회담 또는 전략대화를 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 중인 앙골라의 조르제스 레벨로 치코티 외교장관과는 동북아·아프리카 지역 문제에 대한 협력을 국제무대에서 지속하기로 했다.
윤 장관은 앙골라가 추진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도 요청했다.
키르기스스탄의 에를란 베케쇼비치 아브딜다예프 외무장관과는 키르기스스탄이 참여하는 구소련권 경제공동체 '유라시아경제연합'(EEU)과 우리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간 연계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그는 국제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이주와 난민 이동'을 주제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주재한 고위급 회의에도 참석했다.
윤 장관은 "한국 정부는 정책 우선순위로서 난민을 포함해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인도주의 외교'를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난민 대탈출 사태의 근본 원인인 시리아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연대해 정치적 해법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고도 중요하다"며 "분쟁을 악화시키는 테러리즘과 폭력적 극단주의를 분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윤병세 “이란핵 합의...북핵에 시사점”
입력 2015-10-01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