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국민공천 실현 특별기구 구성 논의부터 헛발질...김무성 불참 속 구성 주체도 못 정해

입력 2015-10-01 12:46

20대 총선 '공천룰'을 놓고 내홍에 휩싸인 새누리당이 공천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내에 특별기구를 설치하기로 하며 일단 파국은 면했지만 특별기구 구성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놓고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강력 반발, 의원들간에 고성과 삿대질까지 오가는 등 극한 대결로 치닫자 '국민공천 실현 특별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며 의총을 서둘러 끝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당초 1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친박계 인사들로부터 "특별기구를 구성하게 된 것은 다행"이라는 평가만 나왔을 뿐 추가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특별기구 설치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야 할 김 대표가 이날 회의에 불참한 데다가 당 안팎에서 공천룰을 놓고 계파 간 힘겨루기가 격화되면서 당장 특별기구 위원 선정부터 물밑에서 기싸움이 치열하기 때문이라는 후문이다.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 등 계파간 신경전에 더해 의원 개개인의 이해관계까지 걸린 민감한 공천 방식을 다루게 될 기구인 만큼 친박·비박 양 진영은 자신에게 유리한 인사들을 특별기구에 더 많이 넣으려 할 것이 뻔한 상황이다.

통상 공천 관련 기구는 당 대표 라인인 사무총장이 맡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 기구는 '중립적인 인사'가 맡아야 한다는 요구가 분출되면서 위원장 인선에서부터 진통이 예상된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특별기구 구성은 당헌당규를 따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구성 단계에서부터 논의 주체가 '최고위'가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이다.

반면에 김무성 대표는 이날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기구는) 사무총장이 안을 만들어야지, 난 일일이 간섭 안한다"고 말해 온도차를 드러냈다.

이 기구에서는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정했다가 야당의 반대로 무산된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의 '대안'을 찾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전날 야당의 반대로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 실행이 불가능해졌다고 밝히면서도 어떠한 경우에도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린다는 약속은 지키겠다고 밝혔다.

특별기구에서는 특히 전날 의총에서 찬반이 맞서면서 결론을 내지 못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놓고 제2, 제3의 충돌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의총 결과에 대해 비박계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한 반면, 친박계는 "전날 합의 추인이 불발됐으므로 논의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서 김 대표가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밝혔던 오픈프라이머리의 당론 폐기 책임 공방이 재연될 소지도 있다.

아울러 특별기구에서는 경선시 컷오프 비율, 당원과 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 등 세부 각론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략공천 허용 여부를 놓고 격론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전날 "내가 있는 한 전략공천은 없다"고 재차 선언했지만, 당내에서는 과연 그게 가능하겠느냐는 반론도 적지 않다.

우선 출마 후보가 없는 약세 지역에 대한 전략공천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뿐만아니라 이미 야당이 '20% 전략공천 방침'을 내세워 인적쇄신을 밝히고 나선 만큼 새누리당도 새로운 인물을 영입해 후보로 내세우기 위해선 전략공천이 필요하다는 것.

당 관계자는 "공천기구에 참여할 사람을 고르는 문제부터 시작해서 의제 하나하나를 다룰 때마다 번번이 충돌이 발생할 게 뻔하다"며 "당장 기구가 언제 꾸려질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