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외교장관 회담이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렸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전 10시 제70차 유엔총회가 열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만나 회담을 시작했다.
지난 8월 6일 ARF(아세안지역안보포럼)를 계기로 말레이시아에서 만난 지 55일 만에 다시 이뤄진 대좌다.
윤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은 10월 말이나 11월 초 서울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고, 이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만났다.
양국 외교 수장으로서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의제를 조율한 것으로 보인다. 자연스럽게 한·일 정상회담의 필요성 및 개최 의사도 서로 타진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회담에서는 한·일 관계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냉각된 상황에서 양국 정상회담 개최에 사실상 장애물이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장관은 위안부 동원은 일본 정부가 자행한 반(反)인도적 불법행위로서 일본에 국가적 책임이 있으므로, 일본 정부가 이를 인정하고 위안부 피해자에게 진정한 사과와 적절한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8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이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를 우회 압박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박 대통령은 국제사회에 ‘분쟁 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촉구한 뒤 “무엇보다 2차 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지금까지 위안부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회담에서는 또 최근 집단자위권 등을 골자로 하는 일본의 안보법제가 통과된 후 유사시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무단진출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대해서도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측은 일본이 개정 법제에 따라 집단자위권을 행사하더라도 한국의 안보나 국익과 관련된 사안에서는 한국의 요청이나 동의가 없는 한 용인될 수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한·일, 뉴욕서 외교장관회담…일본군 위안부 문제 ‘접점’ 주목
입력 2015-10-01 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