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리콜하더라도 연비·성능 타격 불가피” - 美자동차 전문가

입력 2015-09-30 17:30

폭스바겐이 배출가스 조작 차량을 리콜할 경우 연비나 성능 저하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보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폭스바겐은 수일 내 최대 1100만대의 디젤차 차주들에게 리콜 계획을 통보할 계획이다.

한국에도 해당 폴크스바겐 차량이 15만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연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배출가스만 낮추는 기술을 개발해 리콜에 적용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10월 7일까지 독일 당국에 수습 방안을 제출해야 하는 촉박한 일정을 고려할 때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

문제가 된 디젤차들은 배출가스 저감을 위해 ‘질소산화물 저감촉매(LNT)’와 ‘선택적 촉매 환원장치(SCR)’ 두 가지 기술을 사용했다.

주로 LNT 기술이 적용되다가 2012년 중형 파사트부터 저감 효과가 더 뛰어난 SCR가 사용됐다.

LNT는 질소 촉매를 통해 질소산화물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SCR은 요소수를 이용해 질소산화물을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방식이다.

어떤 저감장치를 쓰는지에 따라 리콜 방식도 달라질 수 있지만 일단 두 장치 모두에 눈속임 소프트웨어가 장착돼 있기 때문에 이를 조작하는 것이 간단한 해결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만 작동하던 저감장치를 상시 작동토록 하면 더 많은 연료가 소비되고 연비나 성능은 저감될 수밖에 없다.

자동차 컨설턴트 샌디 먼로는 로이터통신에 “질소산화물 배출을 통제하기 위한 모든 장치는 디젤 엔진의 성능과 연비를 저하시킨다”고 말했다.

또 SCR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리콜 이후 배출가스 저감 작용이 강화되면 엔진오일 교체 시점이 전보다 짧아질 수도 있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LNT 대신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가 큰 SCR을 모든 차에 설치하려면 대당 5000∼8000달러의 비용이 소요되고, 소비자로서도 요소수 탱크를 추가로 장착해야 해 트렁크 공간이 좁아지는 부담도 있을 수 있다고 미국의 IT전문매체 와이어드가 전했다.

그렇다고 소비자가 리콜을 임의로 거부하기 어려울 공산이 크다.

통상 차량 성능과 관련된 리콜은 소비자가 귀찮다는 이유로 피할 수 있지만, 이번 경우처럼 환경오염과 직결되는 경우 개인의 선택으로만 맡겨두지 않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와이어드는 “이번 경우는 공중보건에 위협 요인이고 위법 사항이기 때문에 당국이 리콜하지 않은 차량에 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결국 울며 겨자 먹기로 리콜에 응한 소비자들이 연비와 성능 저하, 중고차값 하락 등을 이유로 폭스바겐을 상대로 줄소송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다.

폭스바겐은 리콜 이후 연비가 구입 당시 공인 연비보다 떨어지면 소비자들에게 대규모 보상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에서 현대차와 기아차가 연비 과장으로 적발돼 대규모 리콜을 했을 때 소비자들에게 직불카드를 주는 형태로 보상을 해준 적이 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