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주류와 비주류는 여야 대표의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합의에 대한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다. 새누리당처럼 계파 간 정면충돌로까진 치닫지 않았지만 ‘공천 신경전’은 계속되는 양상이다.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을 향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을 압박했다. 특히 청와대의 반발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유은혜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두 대표의 합의야말로 동원 경선의 폐단을 없애고 비용을 크게 줄이는 보다 합리적인 국민공천제”라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지난 2012년 대선후보 경선에서 당원명부 유출파문이 일자 그 방지책으로 가상의 전화번호를 활용한 바 있다”며 “청와대의 주장대로라면 박근혜 대통령은 민심을 왜곡하고 조직을 동원하는 경선에서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는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에 “안심번호는 안심 못하는 ‘불안심 번호’”라며 “국민공천제에 찬성하지만 안심번호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비주류인 송호창 의원도 TBS라디오에서 “안심번호제는 여론조사로 후보를 결정한다는 것인데, 민주주의 기본원리에 반대된다”고 말했다.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우려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 진영에서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가 당 바깥에 열성적인 지지 세력이 있는 친노(친노무현)·주류진영에 유리한 제도 아니냐는 불만이 강하다.
여기에 지도부가 여전히 전략공천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공천제라고 보기 힘들다는 견해도 있다. 황주홍 의원은 PBC라디오에서 “국민공천제라는 것은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리는 건데, 지금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과 달리 당 대표가 가진 20% 공천권은 그대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이 당론으로 밀고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논의가 부실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SBS 라디오에서 “(문 대표가 김무성 대표와의 부산회동에서) 정당명부식 권역별 비례대표에 관해선 뭔가에 방점 하나 정도는 찍어주셨어야 하는데 그게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며 “가장 중요한 문제를 거론하지 못한 것이 패착”이라고 했다.
총선을 앞두고 의정활동을 평가하는 현역 선출직 평가위원회 위원장직도 논란거리다. 문 대표 등은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를 가장 유력한 후보로 선정했다. 하지만 조 교수는 ‘친노 편향’ 시비에 시달린 19대 총선 공천 당시 공천심사위원이어서, 비주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새정치연합 내에서도 엇갈리는 반응
입력 2015-09-30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