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의 대립이 연일 고조되고 있다. 김무성 대표가 추석 연휴 동안인 28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부산 회동을 통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에 합의한 게 도화선 구실을 했다.
친박계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친노(친 노무현)계가 비노(비노무현) 축출을 위해 도입하려는 제도를 김 대표가 합의준 것은 문 대표 입지만 강화해줬다는 비판을 가하고 있고, 비박계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라는 상향식 공천을 한국 지형에 맞게 변형시킨 것으로서 오히려 주도권을 쥔 것이라고 맞섰다.
김 대표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에 따라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에서 예상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안을 제안한 것”이라며 “새정치연합의 공천안을 그대로 수용한다고 주장하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거듭 밝혔다.
비박계의 김성태 의원도 CBS 라디오에서 “대통령 외교 활동 중 당 대표가 합의한 데 대해 지적하는데 그러면 공천방식이 대통령의 뜻에 의해서 결정돼야 하는 것이냐”며 “차라리 속 시원하게 ‘이렇게 하면 전략공천을 못하지 않느냐’고 솔직하게 얘기를 해야지, 뜬구름 잡는 이야기로 분열과 갈등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최고위 공개 석상에서 다른 최고위원들이 반박하지 않았지만, 비공개 회의에서는 논쟁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는 의총까지 가지 않고 최고위를 1차 저지선으로 삼는 분위기다. 의총까지 가면 유권자가 후보를 직접 선출하는 방식의 국민공천제를 옹호하는 의원들도 적지 않아 상황 전개가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 없다는 고민도 없지 않다.
반면 비박계는 우군을 최대한 결집해 의총에서 다시 한번 수적 우위를 과시하며 친박계에 반격을 가할 태세다. 이런 가운데 비박계로 통하던 원유철 원내대표마저 ‘제3의 길’을 언급하며 김 대표와 노선을 달리하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새누리당 친박 비박 갈등 연일 고조
입력 2015-09-30 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