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북한은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이) 핵개발을 비롯한 도발을 강행하는 것은 세계와 유엔이 추구하는 인류평화의 가치를 훼손하는 길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통일 비전에 대해 “평화통일을 이룬 한반도는 핵무기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는 번영된 민주국가가 될 것”이라며 “유엔이 1948년 대한민국 탄생을 축복해줬던 것처럼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국어로 진행된 15분간의 기조연설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 및 동북아 역내 평화실현, 한반도 통일비전, 유엔 등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 등 크게 3가지 분야에 대한 구상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핵문제와 관련 “지난 7월 이란 핵협상이 최종 타결됐는데 이제 마지막 남은 비확산 과제인 북핵 문제 해결에 국제사회의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북한의 추가도발 공언은 남북대화 분위기를 해치고 6자회담 당사국들의 비핵화 대화 재개 노력을 크게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경제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통일비전과 관련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 70년의 역사를 끝내는 것은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일”이라며 “통일 한반도는 지구촌 평화의 상징이자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가 정치·군사적 이유로 더 이상 외면되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과 관련 “국제사회가 분쟁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창설 70년을 맞은 유엔 등 국제사회 기여방안과 관련해선 유엔과의 협의를 거친 PKO 추가파견, 아프리카 연합과의 실질적 파트너십 강화, 시리아 난민 관련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 강화 계획 등을 밝혔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朴대통령 "北도발보다 개방의 길로…통일한반도는 세계 평화 기여"
입력 2015-09-29 08:11